☆ 등산 1100

관악산 [6-3능선] - 숨은폭포를 찾아서

관악산{인덕원 - 6봉국기봉 - 6*3능선] 2017. 7. 26(수) 친구와 둘이 관악산 육봉국기봉 아래 '숨은폭포'가 있다고 해서 찾아 나섰다. 6봉능선 3봉에서 시작되는 '6-3능선'의 마당바위 서쪽 아래 계곡에 숨어 있다고 한다. '6-3능선'도 초행지이다. 사람 발길이 덜 닿고 처음 가보는 곳에 대한 기대와 설레임으로 괜히 마음이 바쁘다. 인덕원 동편마을 - 산림욕장 - 육봉국기봉 - 3봉 - 6*3능선 - 숨은폭포 - 과천정부청사(7.0km) 분당에서 [1303]번 광역버스로 인덕원 부림마을에서 내려, 관악초등학교 앞을 따라 올라가면 '관악산산림욕장입구' 오늘 산행의 들머리이다. 흙길이 끝나고 이제부터 전형적인 관악산 지형이다. 계곡과 능선이 갈라지는 지점이다. 오른쪽 바윗길 능선이 전망도 좋..

관악산 [장군바위능선 – 자하능선]

문원폭포 – 장군바위봉 -자하능선 2017. 7. 18(화) 혼자 예보와 다르게 아침부터 빗방울이 오락가락한다. 일단 관악산으로 간다. 무엇보다 많은 비가 내린 후의 문원폭포가 궁금하다. 지난 5월에는 긴 가뭄으로 물줄기가 바짝 말랐었다. 산행은 문원폭포에서 장군바위능선으로 올라 케이블카능선으로 내려오는 루트. 네이버 지도에는 케이블카능선이 자하능선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과천종합청사역⑦ - 문원폭포 – 장군바위봉 - 자하능선 – 구세군교회 – 종합청사역⑩(7.5km) 과천종합청사역⑦번 출구에서 운동장을 가로질러 나가 정부종합청사를 끼고 돌아 국사편찬위원회를 지나고 화학융합시험원도 지나면 바로 백운사입구, 오늘 산행의 들머리이다. 종합청사역에서 1.3km 가량, 15분쯤의 거리이다. 좁은 철책 사이길을..

북한산 [형제봉능선 - 삼천사계곡]

2017. 7. 13(목) 친구와 계곡 좋은 여름산행지 북한산 삼천사계곡으로 간다. 며칠 전 내린 폭우로 계곡물은 차고 넘칠 것이다. 형제봉능선으로 북한산성으로 올라 삼천사계곡으로 하산하며 탁족을 즐기는 코스. 형제봉능선은 유사시 왕이 경복궁에서 북한산성으로 들어가는 루트로서 이른바 '왕의 길'이다. 1980~90년대 친구 3명이 주말마다 이 길을 걸어 대성문을 올랐었다. 조계사 앞에서 1020번 버스를 타고 북악터널입구 삼성아파트 앞에서 내려 산행을 시작한다. 북악터널입구 – 형제봉매표소 – 형제봉 – 대성문 – 대남문 – 청수동암문 – 삼천사계곡 – 진관사입구(9.1km) 형제봉매표소 일대가 지난 월요일 폭우로 산사태가 발생했다. 등산로 쪽은 그다지 위험할 것 같지 않은데도 통행을 금지하고 있다. 지..

우이령길

우이령길 2017. 7. 11(화) 친구와 산발적으로 내리던 장맛비가 어제는 폭우를 퍼붓고 모처럼 하늘이 개었다. 오랜만에 「여성봉·오봉」을 오르기로 하고 송추계곡으로 간다. 교현리 우이령입구 - 우이령 - 우이동 우이령입구(6.8km) 들뜬 마음을 다스리며 막걸리도 한 병 챙기고.. 기대를 잔뜩 안고 올라갔지만.. 아침부터 밀려드는 산객들에 지친 직원은 아예 나오지도 않고 앉아서 '안내문'을 가리킨다. 지난 일요일 통제를 뚫고 들어간 60대 여성이 인수봉에서 벼락에 맞아 사망하는 사고도 있어 통제가 심하다. 3시간을 버스 갈아타며 온 길인데 ㅠㅠ.. 허탈해 하는 표정을 읽은 국공직원이 "우이령길이 오늘만 예약 없이 통행이 가능하다"고 귀띰을 준다. 입산을 거절당한 사람들끼리 팀이 되어 우이령으로 향했다..

춘천, 빙산 · 매봉산 - 울창한 소나무숲길

빙산(384m) – 매봉산(457m)/춘천 2017. 6. 30(금) 혼자 산을 검색하다 춘천 '빙산-매봉산'이 눈에 꽂혔다. 소양강을 사이에 두고 '마적산'과 마주하는 산이다. 마적산도 그렇지만 울창한 소나무숲길이 아름다운 산이다. 대중교통으로는 비교적 먼 거리라 경춘선 급행 전철시간에 맞춰 서두른다. 장마기간이지만 가뭄은 여전하고 날씨는 무척 덥고 습하다. □ 세월교 – 빙산 – 매봉산 – 가산초교(9.3km) [갈 때] 상봉역 08:38 경춘선(급행) - 춘천역 09:48/10:15 [12]번 버스 환승 –25분- 춘천동원학교 10:30 [올 때] 춘천 동면사무소 [75]번 버스 – 동부시장/[8]번 버스 - 남춘천역 춘천동원학교 정류장 춘천역①출구로 나와 길 건넌 정류장에서 소양호로 가는 [11]..

적갑산 ~ 철문봉 ~ 예봉산

2017. 6. 28(수) 친구와 둘이 적갑산에서 남쪽으로 예봉산 예빈산에 이르는 능선에는 500~600m대의 고만고만한 봉우리들이 연봉을 이룬다. 사람들은 「다산능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팔당호변 능내리는 정약용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다. 적갑산은 도곡리 99-2번 도곡리 종점에서 새재고개를 거쳐 오르는 것이 보통인데, 오늘은 어룡마을에서 시작하여 바로 오른다. □ 어룡마을 - 적갑산 – 철문봉 - 예봉산 - 팔당2리(8.0km) [갈 때] 덕소역 10:05 [99-2]번 버스 – 어룡마을 삼거리 10:20 *[99-2]번 버스는 덕소역에서 도곡리를 30분 마다 오간다. 덕소역에서 매시 10분과 40분, 도곡리에서 매시 정각과 30분에 출발한다. 다만 덕소역은 회차지이므로 ±5분의 여유를 두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