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315

멀구슬나무, 청미래덩굴, 실거리나무, 음나무

조선일보 2024. 01. 23. '순이삼촌'에서 만난 제주도 나무 4가지 [김민철의 꽃이야기] 김민철 논설위원 얼마 전 제주도에 갔을 때 파란 겨울 하늘을 배경으로 대추 모양의 노란 열매가 주렁주렁 달린 나무들을 많이 보았다. 멀구슬나무인데,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 민가 주변에서 흔히 자라는 나무다. 이 나무를 보니 4·3사건을 다룬 현기영 중편소설 ‘순이삼촌’이 떠올랐다. ◇제주도에서 같은 날 멀구슬나무에 돼지 잡는 이유 소설은 화자가 할아버지 제사에 맞추어 고향 제주에 내려갔다가 순이삼촌이 자살했다는 소식을 접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다. 순이삼촌은 어려서부터 가깝게 지낸 친척 아주머니였다. 제주도에서는 아저씨·아주머니를 구분하지 않고 촌수 따지기 어려운 친척 어른을 ‘삼촌’이라 부른다고 한다. 소..

☆야생화/나무 2024.01.23

구상나무

조선일보 2023.11.14. 김민철 논설위원 구상나무는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종입니다. 제주 한라산을 비롯해 지리산·덕유산 등의 고지대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이 나무가 긴 삼각형 모양 수형이 아름다워 크리스마스트리용으로 인기 있다는 점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엔 기후변화로 빠른 속도로 집단 고사해 안타까움을 주는 나무이기도 합니다. 구상나무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전인 1920년 신종으로 등록됐습니다. 구상나무가 속한 ‘전나무속’에는 전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가 더 있습니다. 구상나무는 분비나무와 비슷하게 생겨 신종 등록 전까지는 다들 분비나무라고 여겼다고 합니다. ◇신종 등록까지 미·일 학자 치열한 물밑 경쟁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라는 일본인 식..

☆야생화/나무 2023.11.14

미국산딸나무

꽃산딸나무라고도 부른다. 영문 이름 Dogwood 미국·맥시코 원산.. 우리나라 산딸나무와 비슷하여 미국산딸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층층나무속(Cornus)에 속하며 우리나라 산딸나무는 학명이 Cornus kousa 이고, 미국산딸나무는 Cornus florida.. 십자 모양 4장의 흰색 꽃이 피는 모습은 산딸나무와 비슷하지만 열매 모양은 전혀 아니다. 오히려 괴불나무와 닮았다. 그런데 왜 dogwood이지? 그 열매는 괴불나무의 열매와 닮았다고?.. 괴불나무의 원래 이름은 '개불알나무'이다. 그리고 개불나무 → 괴불나무로 된 것.. 제주도에서는 '개불낭'이라 부른다. 실제 미국산딸나무열매도 개 불알을 닮았다.. 설마 ~ ~? 그래서 dog가 들어간 것은 아니겠지?..

☆야생화/나무 2023.10.14

식물계의 ‘미운 오리새끼’ 아까시나무

동아일보 2023. 5. 4 [서광원의 자연과 삶] 분명 같은 나무인데, 예전과 완전히 다른 대우를 받고 있는 나무가 있다. 많은 이들이 지금도 아카시아라고 알고 있는 아까시나무다. 아마 40대 이상은 기억할 것이다. 불과 얼마 전까지 우리는 한목소리로 이 나무를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했지만, 웬일인지 그런 목소리는 다 어디론가 사라지고 지금은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 심지어 꽃을 좀 아는 사람들은 이 아까시 꽃을 5월의 꽃이라고 할 정도다. 아름다우면서도 향기가 일품인 까닭이다. 하나같이 있어서는 안 될 나무라고 한 게 얼마 전인데,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이름까지 아카시아로 바뀐 채 이 땅에 살게 된 이 나무의 과거는 험난 그 자체였다. 산림녹화를 위해 어느 나무보다 빨리 자라는 이 나무를 곳곳에 심..

☆야생화/나무 2023.06.07

모데미풀

모데미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우리나라 고유 식물 소백산 · 지리산 · 덕유산 · 설악산 등 깊은 산 습기가 있는 능선에서 자란다. 더위에 매우 약하여 주로 산 북사면의 습윤한 낙엽수림에서 볼 수 있다. 꽃은 백색으로 4~5월에 피며 지름 2cm정도이다. 지리산의 중봉 모뎀골에서 발견되어서 '모데미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자료: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야생화 2023.05.01

'5484세 추정' 칠레, 세계 최고령 나무

(서울=뉴스1) 2022-05-27 김예슬 기자 | 지금까지 알려진 최고령 나무는 4853세 캘리포니아 '브리슬콘 소나무' 칠레 남부의 고대 사이프러스 나무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6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AFP 통신 등에 따르면, 파리 기후 및 환경과학 연구소 소속의 칠레 과학자 조나단 바리치비치 박사는 칠레 남부 안데스산맥 자락에 위치한 알레르세 코스테로 국립공원에 있는 파타고니안 사이프러스 나무의 나이를 5484년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타고니안 사이프러스(학명 Fitzroya cupressoides)는 자이언트 세쿼이아 및 미국삼나무와 같은 과에 속하는 침엽수로, 칠레와 아르헨티나를 원산지로 한다. 이 종은 매우 느린 속도로 자라며, 높이 45m 직경 6..

☆야생화/나무 2022.05.29

한·일 왕벚나무 원조 논쟁

조선일보 2022.04.12. [김민철의 꽃이야기] 한·일 왕벚나무 원조 논쟁 110년만에 결론, 그 이후... 왕벚나무의 원산지를 놓고 한일간에 100년 이상 논쟁을 벌였다. 일본은 왕벚나무의 원조는 당연히 일본이라고 생각했다. 1901년 마츠무라 교수가 왕벚나무에 학명(Prunus yedoensis Matsumura)을 붙일 때 종소명에 에도(江戶·도쿄)를 넣은 것도 그런 이유였다. 그런데 에밀 타케(Taquet) 신부(프랑스 출신으로 구한말 우리나라에서 활동한 선교사이자 식물학자)가 1908년 제주도 한라산 자락에서 왕벚나무의 자생지를 발견했다. 그후 한국 학자들은 왕벚나무가 제주에서 일본으로 건너갔다고 주장했고, 일본 학자들은 수백 년 전부터 일본에서 자생하고 있었다는 반론을 제기했다. 두 나무는..

☆야생화/나무 2022.04.14

제주도 가로수 - 후박나무·먼나무·담팔수·구실잣밤나무·녹나무·돈나무

[김민철의 꽃이야기] 후박나무·먼나무·담팔수, 제주도 상록 가로수들 조선일보, 2021. 12. 28(화) 제주도는 가로수부터 육지와 다르다. 상록 가로수가 많은데 서울에서는 보기 힘든 나무여서 제주도의 독특한 분위기를 내는데 한몫하고 있다. 대표적인 나무가 후박나무다. 제주도에서 줄기가 노란빛을 띠는 회색으로 밝은 편이고 굵고 튼실하게 올라가는 상록수가 보이면 후박나무일 가능성이 높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반질반질 윤기가 나고 가지를 우산 모양으로 넓게 펼치는 웅장한 수형을 가졌다. 제주공항 출입문을 나오자마자 보이는 나무 중 야자수를 제외한 나무 상당수가 후박나무다. 제주시 가로수 7그루 중 하나(14.6%)는 후박나무다. 봄에 새순이 단풍처럼 붉게 물든 모습도 아름답다. 후박이라는 이름은 잎과 나..

☆야생화/나무 2021.12.30

산딸기 종류

산딸기·줄딸기·멍석딸기·곰딸기·복분자 조선일보 2021. 06. 08 산을 오르다보면 여러 종류의 산딸기를 볼 수 있다. 열매 모습이 거의 비슷해 산에서 야생으로 자라는 산딸기 종류를 모두 흔히 산딸기라고 부르지만 산에서 자라는 산딸기 종류는 다양하다. 산딸기 이중 요즘 하얀 꽃이 피는 것이 그냥 산딸기다. 산딸기는 잎이 3~5갈래로 갈라지고 줄기에 가시가 많은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장미과이므로 꽃잎은 5장인데, 새로 난 가지 끝에 2~6개의 꽃이 모여 달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줄딸기 줄딸기 꽃은 봄이 완연한 4~5월에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산딸기 중에서 가장 먼저 꽃이 피고 열매도 가장 먼저 익는다. 그래서 요즘 빨간 열매가 달린 것은 줄딸기가 많다. 진분홍빛 꽃잎을 길게 줄줄이 달고 ..

☆야생화/나무 2021.06.16

제비꽃 <조선일보, 김민철의 꽃이야기>

고수도 쩔쩔매는 제비꽃, 이 꽃만 알면 당신도 제비꽃 박사 김민철 논설위원 조선일보, 2021. 04. 13. 드디어 제비꽃 시즌입니다. 도심 빈터와 화단, 공원 모퉁이는 물론 등산로에도 제비꽃이 피고 있습니다. 제비꽃은 꽃공부를 좀 한 사람도 고개를 흔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 제비꽃만 50가지 안팎인데다 다양한 품종까지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다 같은 종이라도 변이가 심해 뚜렷한 구분 포인트를 잡기가 쉽지 않더군요. 오랑캐꽃, 앉은뱅이꽃, 씨름꽃, 장수꽃, 외나물 등 별칭도 참 많은 꽃입니다. 그래서 저도 해마다 이맘때면 제비꽃앓이를 합니다. 그냥 노랑제비꽃이나 남산제비꽃, 고깔제비꽃 같이 특징이 뚜렷한 제비꽃만 알고 지내려고 마음먹지만, 이즈음이면 길거리에서도 산에서도 제비꽃이 나타나니 또다시 관..

☆야생화/들꽃 2021.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