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80

분당, 영장산 [도촌동 - 영장산 - 율동공원]

2022. 04. 07(목) 이슬 6명 코로나 위세에 밀려, 한 달만에 이슬팀 산행에 동참한다. 오늘 산행은 영장산.. 맹사성이 관직에서 물러나면서 하사받았다고 맹산이다. 오늘은 도촌동에서 시작하여 율동공원으로 내려간다. □도촌동9단지 - 영장산 - 거북터 – 일곱삼거리 - 솔밭쉼터 – 율동공원(7.6km) 모란역에서 240번 버스를 타고 도촌동 섬마을9단지에서 내려, 개천길을 3~400m 올라온 든든한교회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든든한교회에서 0.8km, 왼쪽은 고불산 0.6km, 오른쪽으로는 영장산 1.93km 영장산으로 가자.. 이것 저것 군것질하며 1차 휴식. 하산지점을 율동공원으로 정하고 동쪽 가파른 경사를 내려간다. 영장산 정상에서 율동공원까지 4km는 거의 변화가 없는 산길로 지루하다. 새마을..

북한산 원효봉 [원효북능선 – 산성입구]

2022. 4. 5(화) 북한산 원효봉, 주봉 바로 밑에 빗겨서 있어 홀대받는 봉우리이다. 예전에 한 번 의도치 않게 하산했었던 북쪽 능선을 다시 오른다. □효자리입구 – 원효북능선 – 원효봉 – 북한산성입구(6.0km) 연신내에서 [704]번 버스로 환승하여, 관세농원에서 내린다. 버스 반대 방향으로 150m 내려오면 효자리입구이다. 입구에서 들어오면 바로 '내시묘역길' 들머리가 보인다. 내시묘역길로 들어서서 바로 둘레길에서 벗어나, 왼쪽 텃밭 오솔길로 꺾어 올라간다. 곧이어 나타나는 공동묘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른다. 입구에서 10여분 걸어오면 4거리를 만나는데, 왼쪽 방향이 신둔계곡이다. 계곡을 건너 능선으로 오른다. 주민들이나 이용하는 한적한 코스이다. 벙커 앞에서 오른쪽으로 오르면 곧바로 삼각점..

관악산 [케이블카능선 - 성묘능선]

2022. 04. 02(토) 친구와 함께 며칠 전 과천 성묘능선을 올라 낙성대역으로 하산했었는데 오늘은 케이블카능선으로 올라 성묘능선으로 내려온다. 두 능선 모두 짧은 코스지만 바윗길이 재미있다. 문원폭포 바로 위 성묘능선 3봉에는 전망 좋은 명당쉼터가 자리잡고 있다. □구세군교회 - 케이블카능선 - 철탑삼거리 - 성묘능선 - 과천시청(4.4km) 교회 마당 뒤편으로 등산로가 나있다. 진달래가 봄기운을 돋으고.. 왼편은 지난 주에 올랐던 시청능선.. 가운데 볼록한 지점에서 시청능선과 성묘능선이 갈린다. 정상부분을 바라만 보고 성묘능선으로 내려간다. 오른편으로 조금 나가면 소나무 밑에 자리를 펴고 명품전망 감상하면서 2시간 점심... 짧지만 바윗길 등산로가 알차고 재미있는 코스였다. 관악산 북쪽 코스는 너..

관악산 [성묘능선 – 하마바위능선]

2022. 3. 30(수) 과천 방면 관악산 능선 탐구의 일환으로 오늘은 성묘능선을 오른다. □백운사입구 – 성묘능선 – 케이블카능선 - 연주대 – 하마바위 – 하마바위능선 – 낙성대 은천아파트(9.0km) 과천청사역 ⑦번출구에서 정부청사를 오른편에 끼고 돌아, 백운사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한다(09:52) '신계 각세도조 성묘 입구' 표지석도 세워져 있다. '각세도'의 교주 신계 이선평의 묘라고 하는데, 각세도라고는 들어본 적이 없다. 문원폭포 방향 성묘 뒤에서 '119 위치표지판(성묘)'을 3~4m 지나면 성묘능선으로 올라가는 등산로가 있다. 봉우리를 2개나 넘으며, 가파른 오르막 바윗길을 1km 이상 올라왔다. 꽤 넓운 평지이지만.. 조금만 왼편으로 비켜 나가면, 그야말로 기가 막힌 조망의 쉼터가 자리..

의왕, 백운산 [고기리 – 백운산 - 광교산 – 고기리]

2022. 3. 23(수) 오랜만에 의왕 백운산으로 간다. 분당에서 가까워, 잠깐이면 다녀올 수 있는 산이다. 고기리 코스를 한 바퀴 돌아오자. □고기리 노인회관 – 바라산 – 백운산 – 광교산 – 수리봉 – 고기리 체육공원(9.7km) 09:30 미금역②번 출구에서 [14]번 마을버스를 타고 09:57 고기리 노인회관에서 내린다. 도로 확장공사로 가로수를 모두 베어버려, 지형 파악에 잠시 헷갈렸다. 버스 정류장에서 후방으로 10m쯤 내려와, 왼편으로 조금 돌아가면 산행들머리가 나온다. 여름 날, 서너명이 둘러 앉아 막걸리 한잔 하기 딱 좋은 쉼터이다. 우담산과 바라재에서 올라오는 주능선과 합류 백운산 방향으로.. 고분재 이후 백운산까지는 이런 계단이 계속 반복된다. 왼쪽 고기리 광교산체육공원, 오른편은..

관악산 [과천시청능선 – 용마능선]

2022. 03. 21(월) 관악산 과천쪽 코스 중 문원폭포 기점의 코스들을 일단락 짓고 오늘은 과천시청능선을 오른다. □과천시청 – 시청능선 – 케이블카능선 - 연주대 – 559봉 – 용마능선 – 과천교회(7.2km) 정부과천청사⑩번 출구에서 과천시청으로 쭉~ 올라와 후문 앞, 보건소와 공영주차장 사잇길로 들어간다. 보건소와 공영주차장 사잇길을 나온 후 데크계단을 올라 끝에서 연주대 방향으로 올라간다. 왼편은 성묘능선.. 오른편은 케이블카능선.. 처음으로 이정표를 만났다. '일명사지(逸名寺址) 위' 성묘능선 분기점이기도 하다. 진행 방향의 능선길. 위험하지 않으면서 바위 타는 맛이 재미있다. 오른편 '제5철탑'을 거쳐 새바위 뒤로 오른다. 연주대를 거쳐 559봉에서 용마능선을 타고 과천으로 내려가자....

관악산 [육봉계곡 - 학바위능선]

2022. 3. 17(목) 문원폭포기점 코스 탐구 육봉능선과 케이블카능선 사이에는 문원폭포로 연결되는 골과 능선이 여럿 있다. 이들 중 아직 가보지 못한 육봉계곡을 탐방한다. □과천시청 후문 - 관악산둘레길 - 문원폭포 - 육봉계곡 - 학바위능선 - 서울대(8.0km) 문원폭포 앞에서 국사봉능선 방향으로 우회전.. 육봉계곡은 절터 옆(←)으로 오른다. 절터 바로 뒤로 직진하면 국사봉능선이다. 무너미고개 직전에서 오른쪽으로.. 무너미고개길 직전에 오른편으로 꺾는다. 서울대로 질러가는 길이다. 8.0km, 4시간 20분 동안의 산행이었다. 지난 1. 27 국사봉능선을 필두로 문원폭포기점의 능선과 계곡 탐구가 오늘로써 일단락되었다.

산정호수, 망봉산과 망무봉

2022. 03. 15(화) 산정호수는 1925년 일제시대 때 축조된 농업용 저수지이다.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과 어울린 풍광이 매우 아름답다. 서쪽의 산은 망무봉, 남쪽은 망봉산 그리고 동쪽에 명성산 여우봉 등이다. 이들 중 억새의 산 명성산을 빼고는 호수 풍광에 밀려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한다. 오늘은 그 망봉산과 망무봉을 오른다. 도봉산역 버스환승센터에서 09:00 [1386]번 광역버스를 타고 10:45 종점인 산정호수 상동주차장에서 내린다. □상동주차장 - 망봉산 - 하동주차장 - 망무봉 - 하동주차장(7.6km) 상동주차장에서 버스가 들어온 방향으로 뒤돌아 GS25를 조금 지나서, ‘호수와 소나무 펜션’ 뒤 ‘눈썰매장’으로 들어가간다. 눈썰매장 입구에서 주차장 안쪽의 이 등산로입구가 보인..

관악산 [팔봉능선 – 불꽃바위계곡]

2022. 03. 11(금) 관악산 팔봉능선을 몇 차례 다녀왔지만 대부분 8봉에서 무너미고개로 내려왔었다. 오늘은 팔봉능선을을 무너미고개 쪽에서 1봉부터 오른다. □ 서울대 - 제4야영장 - 무너미고개 - 팔봉능선 - 불꽃바위계곡 - 문원폭포 - 과천(6.0km) 낙성대역④출구에서 [02]번 마을버스를 타고 건설환경연구소에서 내린다. 계단을 올라 바로 갈림길에서 오른쪽 방향이 제4야영장으로 가는 길이다. 직진하면 안양, 나는 왼편 대각선 방향으로 오른다. 바위 위로 건너거나, 오른편 옆으로 돌아나갈 수도 있다. 흔히 '얼굴바위'라고 하는데 충주 북바위산의 북바위도 많이 닮았다. 오늘 산행 중, 이 제7봉이 그런대로 까다롭고 묘미가 있다. 8봉을 뒤로 돌아.. 불꽃바위에서 오른쪽으로 턱을 넘어, 과천 문원..

아산 "배태망설"의 '망설', '망경산 – 설화산'

아산 "배태망설"의 ‘망설’ 구간 2022. 3. 9(수) 제20대 대통령 선거 공휴일 지난주 "배태망설"의 ‘배태’에 이어 오늘은 ‘망설’ 구간. 여기 산들은 대부분 600m 내외로, 낮지만 평야지대에 솟아 있어 조망이 좋다. 설화산과 망경산도 그렇다. 오늘 들머리는 명막골 넋티고개.. △넋티고개 - 망경산 – 절골 - 설화산 – 외암2리(10.4km 4시간) [갈 때] 09:45 천안역 동부광장서 [640]번 버스 타고, 10:23 명막골 넋티고개 하차 명막골은 [640]번 버스 중간 회차지점이다. [올 때] 14:55 '외암리아래삼막골'정류장에서 [아산 공영버스] 타고, 온양온천역에서 전철 환승 버스는 여기서 회차해 나간다. 온양온천역에서 [172]번을 타도 되지만, 배차 간격이 2시간 이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