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80

호암산, 서울둘레길 5구간

2022. 07. 09(토) 34℃ 무지 무더움 효돈산우회 7명 코로나 규제 완화에 따라 우리 산악회도 재개되었다. 오늘은 호암산 석수역 코스는 3년만이다. □석수역 - 석수능선 - 호암산 - 호압사 - 서울둘레길 5코스 - 석수역(7.4km) 석수역 호암산 입구는 공원으로 바뀌었고 서울둘레길 5코스(사당역 ~ 석수역), 5-2(서울대입구 ~ 석수역) 구간의 기점이다. 신랑각시바위를 보고 나와서 호암산으로.. 호암산 정상에서 호압사를 거쳐 서울둘레길을 따라 석수역으로 원점회귀한다. 창옥이 형님 자전거 회수를 위해 석구역 원점회귀.. 석수역 앞 '포항물회'와 고향 이야기로 뒤풀이.. 무더웠지만 즐거웠다.

관악산, 용마능선

2022. 07. 02(토) 34℃ 맑음 친구와 기온 34℃ , 습도 90%, 체감 38℃, 바람 한점 없다. 태풍이 뜨거운 공기를 밀어올려 말 그대로 숨 막히는 찜통더위다. □과천교회 - 용마능선 - 능선 중간 소나무 그늘 - 과천향교( 3.6km) 날씨는 무덥고 햇볕은 뜨겁다. 출발하면서부터 온 몸이 땀으로 범벅이다. 전망과 그늘이 있고, 평탄한 바위를 겨우 찾아내어 더위를 식힌다. 2시간 동안 참이슬 640㎖을 비우는 사이 13:00가 지났다. 궂이 목표가 있는 것도 아니고 서둘러 하산한다. 산불초소에서 과천향교 방향으로 하산.. 산에서 더위 먹고 산행 도중 포기하기는 처음이다. 에어컨 빵빵 터지는 양평해장국집에서 마무리.

도봉산, 도성암능선[송추 - 오봉샘 - 도봉산역]

2022. 06. 25(토) ‘6·25, 72주년’ 혼자 송추 도성암능선으로 간다. 잘 알려지지 않아 인적이 거의 없고, 사람 만나는면 깜짝 깜짝 놀라는 곳.. □송추계곡 ~ 도성암능선 ~ 오봉샘 ~ 우이암사거리 ~ 도봉산역(9.92km) [704]번 버스 타고 송추계곡 입구에서 하차, 길 건너 송추계곡길을 따라 올라간다. 다리를 건넌 직후, 오른편으로 가도 되고 건너기 전 도성암으로 들어가도 된다. 도성암으로 .. 도성암 마당에서 왼편으로 넘어간다. 금줄도 없다. 개천 건너편에 들머리.. 초입부터 가파르게 시작한다. 잘 알려지지 않은 코스인데 길은 뚜렷하다. 10여분 오르면 평범한 숲길로 바뀐다. 슬슬 바윗길 분위기로 바뀌고 조망도 트이기 시작한다. 왼편으로도 멋있는 바위능선이 나란히 이어진다. 어떻게..

북한산, [비봉능선 – 대성능선]

2022. 06. 21(화) 하지 혼자 □이북5도청 – 비봉 – 대남문 – 대성문 – 대성능선 – 정릉(8.0km 4시간) 종로에서 [7121]번 버스를 타고, 이북5도청에서 하차하여 바로 산행을 시작한다. 비봉까지 1.3km.. 가파른 바위 구간으로, 오늘 산행에서 가장 힘든 구간이다. 상명대 갈림길에서 100여m, 이 바위가 나오면 바로 오른편에 아기곰이.. 이 계단만 오르면 능선이다. 드디어 비봉능선.. 온 몸의 땀과 씨름하며 비봉탐방센터에서 1.3km를 거의 한 시간 올라왔다. 가운데 동서로 뻗은 능선.. 사자능선에서 분가해 나왔다고 'Little Lion 능선'이라 부르던데, 구기동쪽 능선끝에는 사자바위가 있다. 출임금지 구역이라, 그림의 떡 ㅠㅠ. 그러나 기회를 엿보고 있는 중이다. 대성문으로..

관악산, [하마바위능선 - 낙성대능선]

2022. 6. 18(토) 친구와 하마바위능선으로 오르며 전망 좋은 그늘에서 놀다오자! 낙성대터널입구 – 둘레길 – 하마바위 – 상동약수 – 신성빌라(약 4km) 낙성대역 인현시장에서 먹거리 조금 사고 동안약국 골목길을 쭉 올라온다. 정자에서 행장 준비하고, 오른편 계단으로 오른다. 신성빌라에서 올라오는 등산로와 만난다. 왼편은 선유천국기봉 가는 길.. 우리는 직진한다. 나중에 왼편에서 내려와 신성빌라로 하산한다. 개천 2개를 지나 처음 만나는 이 4거리에서 왼편으로 꺾어 오른다. 하마바위능선이다. 이 아래, 평평한 바위에 식탁을 차린다. 하늘이 잔뜩 흐려, 나무그늘이 아니어도 좋다. 바위쉼터에서 2시간 동안 휴식하고.. 좀전 휴식했던 바위 내려다 보기.. 상봉약수에서 낙성대와 인현동 방향으로 내려갈 수..

분당, 맹산 '고불산'

2022. 6. 16(목) 이슬 4명 간간이 빗방울도 뿌리고, 일주일 째 곳뿔도 채 가시지 않고.. 부담없는 고불산으로 가자. 맹산은 맹사성이 세종으로부터 하사받은 산.. 고불은 그의 호. 사람들은 그를 '맹꼬불'이라 불렀다. □도촌동 9단지 - 섬말쉼터 - 고불산 - 갈마고개 - 요골산 - 목현동(6.2km) 모란역 6출구에서 240번 버스를 타고 도촌동 9단지입구에서 내린다. 편대장 불참으로 '생강차' 대신 물로 목 축이고.. 쉼터 의자가 빗물에 젖어 앉을 수가 없다. 그냥 통과.. 누군가 따뜻한 정성으로 관리 되는 쉼터 눈과 비와 바람까지 피할 수 있다. 오늘 간식은 '7년 숙성 인삼주' 와 구운 달걀 .. 여기서는 달달한 커피 믹스.. 목현2동으로 하산, 산행 끝.. 3-3번 버스를 타고 성남동성..

호암산 운동장바위

2022. 6. 10(금) IBK-OB 5명 지난달 28일 경전철 '신림선'이 개통되어 관악산 가기가 편해졌다. 그 전철을 타보기도할 겸 서울대역에서 오른다. □관악산역 – 제2광장 – 철쭉동산 – 운동장바위 – 장군봉 - 제1깔닥고개 – 원점회귀(8.6km) 왼편은 호수공원 우리는 삼성산 방향으로 직진 왼편은 삼막사 방향, 운동장바위는 직진 또 삼막사 갈림길에서도 계속 직진 이 암벽이 나오면 운동장바위에 거의 다 온 것.. 왼편 계단을 오르면 끝이다. 저 귀퉁이 소나무 밑에 10명도 앉을 수 있는 공터를 차지하고 1시간(11:40 ~ 12:50) 이야기 보따리를 풀며 휴식 왼편 장군봉 방향으로.. 장군봉이라지만 전혀 봉우리 느낌이 없다. 오리 같기도 하고, 비둘기 같기도 하고.. 삼막사 위 거북바위에서..

광주, 백마산

2022. 6. 9(목) 이슬산약회 6명 광주 백마산을 예전과 다른 코스로 올라보자. □초월역 – 도곡초교 – 갈멜산기도원 – 백마산 – 마름산 – 백련암 – 양벌리(7.1km) 초월역에서 출발하여, 도곡초등학교 옆길로 1km 가량 쭈~욱 올라왔다. 이곳에서 숲으로 들어가면 바로 백마산으로 오르게 되는데 진입로가 예전과 달리 흔적이 희미하다, 포장도로를 계속 올라 갈멜산기도원을 거쳐 오르자. 포장도로가 끝나고 숲길 시작.. 주능선을 찍는 사이에 오른편 쉼터에서는 벌써 인삼주판이 벌어졌다. 소나무 밑 쉼터에서 카스테라 파티하고.. 목표: 경안교.. 2.4km 마름산을 지나 이 갈림길에서 하산 방향을 벽련암으로 변경.. 내려왔더니 등산로가 아님 ㅠㅠ 마당에 나와 미소로 맞아주는 스님께 정중히 양해를 구하며 ..

사패산 [석굴암 - 범골능선 - 안말능선]

2022. 5. 31(화) 사패산 회룡역 석굴암코스.. 도봉산에 포함될 듯도 하지만 독립된 사패산이다. 주민들은 ‘갓바위산’ ‘삿갓산’ 등으로 부른다. □회룡탐방센터 - 석굴암 - 범골능선 - 사패산 - 사패능선 - 산불초소봉 - 안말능선 - 망월탐방센터(8.7km) 회룡사 방향으로 직진.. 석굴암은 오른쪽으로.. 포장도로가 싫어서 왼편 계단으로... 다시 포장도로와 만나고 바로 석굴암이 나온다. 석굴암 우측 바위에 김구의 글씨가 암각되어 있다. '戊子仲秋遊此 金九(1948년 추석놀이 차, 金九)' 석굴암 산신각 옆 계단으로 '등산로' 팻말이 있다. 범골능선과 만나고 곧이어 오른편 '쪽바위'에서 올라오는 주등산로와 만난다. 그리고 사패산1보루 밑에 이른다. 기운은 다 떨어지고, 오르막은 끝이 없고, 온 ..

'5484세 추정' 칠레, 세계 최고령 나무

(서울=뉴스1) 2022-05-27 김예슬 기자 | 지금까지 알려진 최고령 나무는 4853세 캘리포니아 '브리슬콘 소나무' 칠레 남부의 고대 사이프러스 나무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6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AFP 통신 등에 따르면, 파리 기후 및 환경과학 연구소 소속의 칠레 과학자 조나단 바리치비치 박사는 칠레 남부 안데스산맥 자락에 위치한 알레르세 코스테로 국립공원에 있는 파타고니안 사이프러스 나무의 나이를 5484년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타고니안 사이프러스(학명 Fitzroya cupressoides)는 자이언트 세쿼이아 및 미국삼나무와 같은 과에 속하는 침엽수로, 칠레와 아르헨티나를 원산지로 한다. 이 종은 매우 느린 속도로 자라며, 높이 45m 직경 6..

☆야생화/나무 2022.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