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 1100

남한산성[황송공원 - 남장대 - 동문]

2020. 8. 19(수) 이슬 5명 우리의 남한산성 산행에서 황송공원은 주로 하산코스였는데 오늘은 역으로 들머리코스로 잡는다. 오르막이 비교적 완만하다. 모란역③출구에서 [57]번이나 [60]번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데 [33]번 버스가 먼저 도착하였다. 중원경찰서 뒤에서 내려 사행을 시작한다, □황송공원 - 남장대 - 동문 - 종로 산성로터리(6.0km) 갈림길 마다 왼쪽 길로.. 여기서도 왼쪽으로 이곳 그늘 좋은 데서 간식을 간단히 하고, 제1남옹성 동편 포장길을 따라 남장대로.. 암문을 통해 산성 안으로 진입하여 남장대 방면 성곽으로 오른다.. 머리 위로 내리 쬐는 강열한 햇볕을 피해 나무 그늘길로.. 동문에서 종로 산성로터리 쪽으로.. 산행을 마치고 주먹두부집으로.. 손두부와 두부전골이 맛있는 집..

관악산 학바위[서울대 - 학바위능선]

관악산 학바위능선 2020. 8. 14(금) IBK-OB 6명 유난히 긴 장마.. 시작도 빨랐는데 여태 질질 끌고 있다. 오늘도 오후에는 300mm 이상 폭우가 쏟아진다는 예보.. 지난달에도 기상청 예보를 믿었다가 괜한 날씨에 산행을 취소했었던 터라 오늘은 그 예보가 잘못될 수 있다는 기대 속에 관악산으로 간다. □건설환경연구소 - 학바위능선 - 학바위 - 무너미고개 - 제4야영장 - 원점회귀(4.2km) 낙성대역④출구에서 [관악 02]마을버스를 타고 서울대 건설환경연구소에서 하차. 버스에서 내리면서 바로 산행을 시작한다. 개천을 건너 오른편 학바위능선으로 오른다. 10여m만 가파른 경사이고 이후 아기자기한 숲길이다. 왼쪽 바위길은 '버섯바위능선' 길이고, 우리는 직진한다. 당초 계획은 이 학바위능선을 ..

인릉산 [새말 - 옛골]

인릉산(仁陵山, 326.5m) 2020. 8. 13(목) 이슬∥ 6명 유난히 긴 장마.. 시작도 빨랐는데 여태 질질 끌고 있다. 장마기간 동안 쭉~ 남한산성만 오르다가 모처럼 개인 날, 인릉산으로 간다. 인릉산은 헌인릉 건너편에 있으면서 '인릉'의 조산(朝山)에 해당한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바위 하나 찾아보기 어려운 전형적인 육산으로 높이는 300m에 불과하지만, 숲이 울창하고 산길은 아기자기하다. 산행은 옛골과 신촌동 양쪽에서 시작하는데, 어느 쪽이든 대중교통으로 접근이 용이하다. 모란역 ⑥번 출구에서 [57]번 버스를 타고 25분쯤 달려 「신촌동 앞」정류장에서 내린다. 오늘 코스는 「새말 ~ 옛골」구간, 이른바 '신구간'이다. □ 신촌동 - 범바위산 - 인릉산 - 옛골(7.0km) 새말 '신촌교회'를..

남한산성 반 나절 [산성역 - 산성유원지]

남한산성 반나절 코스 '산성역 - 산성공원' 2020. 7. 30(목) 이슬∥ 6명 많은 비가 예보되었지만 아침부터 예보는 빗나가고.. 또 기상청이 욕을 억수로 먹게 생겼다. 그러나 대기는 여전히 다습. 땅도 질고 땀도 심하고.. 남한산성 반나절 코스만 오르기로 한다. 산성역에서 숲길을 따라 남문으로 올라, 팔각정 쉼터에서 바로 산성공원으로 내려오기.. □ 산성역 - 남문 - 팔각정 - 남한산성공원(6.0km) 산성역①출구에서 길을 건너 생활공원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남한산성의 비극을 잊지말자는 불망이 아니라 남한산성 증축 공로자 세 분의 공적을 기리는 비이다. 정조는 서명응을 수어사로 임명하여 남한산성의 증개축을 맡긴다. 서명응은 광주 부윤 홍익필과 그의 후임 이명중의 도움을 받아 산성 수리를 완공한다..

북한산 애기곰바위 [족두리봉 - 향로봉]

북한산의 「애기곰바위」를 찾아서 2020. 7. 25(토) 혼자 여름답지 않게 서늘하고 바람이 분다. 하늘도 맑아 북한산에서 인천 앞 바다까지 보인다. 2013년, 국립공원관리공단 '닮은꼴 콘테스트'에서 전국 입상작 14점 중, 최우수상인 ‘입술바위’를 비롯하여 6개가 북한산에서 나왔다. 그 가운데 아직 확인 못한 '애기곰바위'를 찾으러 간다. □불광동 대호아파트 - 족두리봉 - 향로봉 - 비봉매표소갈림길 - 애기곰바위 - 이북5도청(5.2km) 불광역⑨번 출구에서 독바위역 방향, 대호아파트 옆 골목으로 100여m 올라오면 여기.. 왼편 계수기를 통과하여 산길로 접어든다. 오른편 나무계단으로 가면 산둘레길.. 이 봉우리 건너편에 족두리봉이 있고.. 내려다본 행로 족두리봉은 멀리서 보아야 제맛이다. 오른은..

남한산성 반 바퀴 [남문 - 서문 - 북문]

비 오는 날 남한산성 반 바퀴, '남문 - 수어장대 - 서문 - 북문' 2020. 7. 23(목) 이슬∥ 6명 때 늦은 장맛비가 계속되고 있지만 전천후 산행 팀을 표방하는 우리는 오늘도 남한산성으로 간다. 비 오는 날이면 으레 다니는 포장길 코스.. 산성유원지에서 남문으로 올라 서문과 북문을 거쳐 종로로 하산한다. □ 성남 산성공원 - 남문 - 수어장대 - 서문 - 북문 - 종로(5.4km) [갈 때] 모란역③출구에서 [51]번 버스를 타고 남한산성입구에서 내린다. [올 때] 산성로터리에서 [9]번 버스를 타고 남한산성입구에서 내려 [51]번 버스를 환승한다. 장맛비가 내리는 가운데 산성유원지에서 포장길을 따라 올라간다. 수어장대는 보수 공사중.. [9]번 버스를 타고 산성유원지에서 [51]번 버스로 환..

북한산 인디언바위 [소귀천계곡 - 형제봉능선]

북한산의 「닮은꼴 바위」를 찾아서 2020. 7. 21(화) 혼자 장맛비가 오락가락하다가 오늘 하루 맑겠다는 예보다. 잽싸게 북한산으로 간다. 형제봉능선 아래에 있다는 「인디언바위」를 찾아보기로 한다. 예전 만화나 영화에서 보았던 인디언 요새 모양을 한 바위이다. 산행은 우이동에서 시작한다. □우이동 - 소귀천계곡 - 대동문 - 대성문 - 형제봉능선 - 인디언바위 - 국민대(10.3km) 우이역에서 도선사 방향으로 쭈욱 올라가다가 할렐루야기도원으로 들어간다. 소귀천계곡입구이다. 영빈관 앞에서 왼쪽으로 '옥류교'를 건너면서 등산로가 시작된다. 옥류교를 건너자마자 우측 바위 틈사이 샛길이 나 있다. 할렐루야능선가는 길인 듯.. 출입금지 팻말이 걸려 있다. 직진하여 소귀천매표소로 올라간다. 계곡이라 풍광도 바..

분당, 영장산[종지봉 - 매지봉]

영장산 [종지봉 - 매지봉] 2020. 7. 18(토) 친구와 오래 전 친구 셋이 주말마다 어울려 오르던 코스를 오늘 둘이서 그 추억을 더듬는다. 20년도 더 오래된 기억이다. □성남아트센터 - 종지봉 - 매지봉 - 운동시설쉼터 - 하탑사거리(6.4km) 이매역 ①번출구, 성남아트센터 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한 때 대기실이 인파로 붐비던 낙지집인데.. 그 대기실과 후문이 흔적도 없이 철거되었다. 아트센터에서 올라오는 코스 갈림길과 만난다. 하탑동에서 오는 등산로와도 만났다. 하산할 때 이곳을 거쳐 하탑동사거리로 내려간다. 이곳 쉼터에서 시간을 보내고... 예전, 아주 오래전, 처음에는 영장산 정상 그 다음에는 솔밭쉼터 그리고 나중에는 여기가 우리의 회귀점이었다. 오늘도 여기서 회귀.. 종지봉 직전에서..

광주, 두리봉 [망덕산 - 두리봉 - 군두레봉]

광주, 두리봉능선 [망덕산 - 두리봉 - 군두레봉] 2020. 7. 15(수) 이슬∥ 7명 오랜만에 남한산 두리봉능선으로 간다. 남한산성 남쪽, 망덕산에서 동쪽으로 뻗은 능선에는 두리봉 군두레봉 등이 솟아 있다. 전형적인 육산으로 산길은 부드럽고 숲은 울창하다. 우라 산행은 주로 이배재에서 시작했으나, 이배재터널이 개통되어 버스노선이 없어졌다. 오늘은 광주 '목현리'에서 오른다. 모란역 ⑥출구에서 [31-3]번 버스를 타고 '목현2통' 정류장에서 하차.. □목현2통 - 이배재 형재봉 - 망덕산 - 두리봉 - 군두레봉 - 목현동 신일아파트(7.7km) 이배재터널을 통과하자마자 첫 정류장 '목현2통 · GS주유소'에서 내려, 길을 건너 바로 산행을 시작한다. 모란역에서 버스로 25분이 걸렸다. 이배재에서 올..

북한산 승가능선 [삼천사 - 승가봉 - 구기동]

북한산 승가능선 2020. 7. 11(토) 혼자 북한산으로 간다. 오늘 코스는 승가능선. 삼천사와 승가봉을 잇는 능선이다. 산꾼들은 ‘다람쥐능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주변 유명 코스에 가려 사람들의 왕래가 많지 않다. 나도 오늘이 처음. 길 찾기는 승가봉에서 내려가는 것이 확실하지만 능선의 재미는 오르는 맛이라, 삼천사에서 시작한다. 연신내역에서 [7211]번 버스를 타고 버스길을 따라가 삼천리골입구 교차로에서 오른편 다리를 건너 들어간다. □하나고- 삼천사 - 승가능선- 승가봉 - 사모바위 - 비봉탐방센터 - 이북5도청(6.9km) 버스정류장에서 200여m 삼천리골입구 교차로. 삼천리골입구 오른쪽으로 다리를 건너, 다시 오른쪽으로 올라가면 삼천사탐방센터이 나온다. 은봉능선 진입로도 지나고 사전에 공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