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대중교통 산행 서울•경기

광주, 두리봉 [망덕산 - 두리봉 - 군두레봉]

산넘고 물건너 2020. 7. 15. 19:52

광주, 두리봉능선 [망덕산 - 두리봉 - 군두레봉]

2020. 7. 15()

이슬7

 

오랜만에 남한산 두리봉능선으로 간다.

남한산성 남쪽, 망덕산에서 동쪽으로 뻗은 능선에는 두리봉 군두레봉 등이 솟아 있다.

전형적인 육산으로 산길은 부드럽고 숲은 울창하다.

우라 산행은 주로 이배재에서 시작했으나, 이배재터널이 개통되어 버스노선이 없어졌다.

 

오늘은 광주 '목현리'에서 오른다.

모란역 출구에서 [31-3]번 버스를 타고 '목현2통' 정류장에서 하차..

 

목현2통 - 이배재 형재봉 - 망덕산 - 두리봉 - 군두레봉 - 목현동 신일아파트(7.7km)

 

이배재터널을 통과하자마자 첫 정류장 '목현2통 · GS주유소'에서 내려,

길을 건너 바로 산행을 시작한다.

모란역에서 버스로 25분이 걸렸다.

 

 

 

이배재 위 440m 지점

이배재에서 올라오는 첫 봉우리를 지난 지점의 등산로와 만난다.

 

 

 

지난 달까지도 보이지 않던 새 이정표.. 

 

 

 

얼마 전 성남공단 보통골에서 올라왔던 삼거리이다.

조금 전 이정표 삼거리 에서 300m쯤 거리..

 

 

 

이배재 정상, 형제봉

이배재 정상에서 1차 간식.. 구운 달걀과 봉삼주

 

 

 

여기도 새로운 이정표..  광주 지역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광주시에서 세워 놓은 듯 하다. 

'목현동[모개미]버스정류장 →

 

 

 

← 보통골

일행은 오른쪽으로 우회하고 나는 망덕산(↑0.1km)으로 직진..

 

 

 

망덕산

주민들은 '왕기봉'이라고 부른다.

 

 

망덕산 500.3m

망덕산에서 동쪽 두리봉 방향으로..

이정표에는 두리봉1.8km, 군두레봉3.8km이다.

 

 

 

'불당리' 방향이 두리봉으로 가는 길..

 

 

 

목현동[모개미]버스정류장 → 2.27km

 

 

'모개미(木甘)고개'

정겨운 순우리말 '모개미'를 한자로 木甘으로 표기하고 있다.

두리봉은 2단봉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부터 가파른 오르막을 두 번 올라야 한다. 

 

 

두리봉

두리봉에는 아무 표지가 없다.

예전에는 이정표 기둥에 누군가 '두리봉'이라 써 놓았었는데 거의 지워지고 잘 안 보인다.

 

 

곳곳에 평상 쉼터를 조성해 놓았다.

 

 

새오개고개

'새고개'가 새오개로 변음되었다는 설.

한자로는 鳥峴, 행정구역을 개편하며 모개미마을(木甘)과 새고개마을(鳥峴)이 합쳐져 '목현리'로 되었다고.. 

 

 

군두레봉 직전에서 우회한다. '가파른 계단도 싫고, 정상을 올라가 봐야 볼 것도 없이 밋밋하다'고 하면서..

 

 

군두레봉에서 목현동으로 내려가는 등산로와 합류한다.

 

 

목현동 신일아파트 앞으로 하산..

예전에는 왼편 100여m 두산그룹 창업주 일가의 재실(齋室)로 내려왔었는데,

새롭게 등산로를 돌려 놓았다. 

신일아파트 앞에서 [31-3]번 버스를 타고 모란역으로...

 

뒤풀이는 '진미' 오리고기로 하자는데  의견이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