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 1100

북한산 문수봉 [대남문 - 문수봉 - 사모바위]

북한산[구기동 - 대남문 - 비봉능선 - 탕춘대능선 - 이북5도청] 2020. 5. 26(화) 혼자 북한산으로 간다. 대남문 복원도 궁금하기도 하여 구기동계곡을 거쳐 대남문으로 오른다. 북한산 등산의 대표코스이다. □구기동 현대빌라 - 구기동계곡 - 대남문 - 문수봉 - 승가봉 - 사모바위 - 탕춘대능선 - 이북5도청(8.8km) 구기동 현대빌라 앞에서 출발하여 0.9km 걸어왔다. 산은 푸르고 물은 맑다. 발걸음도 가볍다. '박새교' '버들치교' '귀룽교' 등 다리 이름들이 정감이 가고 자연친화적이다. 승가사 쪽에서 내려오는 계곡과 합수점 삼거리. 대남문이 보이기 시작하고 웅장한 보현봉이 압도하는 고개. 살랑 부는 미풍이 땀 밤벅이 얼굴을 일시에 식혀준다. 완전히 해체하여 복원하는 공사였는데 이제 거의..

관악산 [사당능선 - 자운암능선]

관악산 사당능선 - 연주대 - 자운암능선 2020. 5. 23(토) 친구와 둘이 친구와 관악산으로 가기로 하고 사당역에서 만나 관음사코스로 오른다. □사당역 - 관음사 - 사당능선 - 연주대(정상) - 자운암능선 - 서울대(8.3km) 사당역 ⑥ 번 출구를 기점으로 '남현동요지'를 가로질러 관음사로 향한다 . 다리를 건너면 바로 산길로 진입하거나 포장도로를 더 걸어 관음사에서 오를 수 있다. 왼편 '화평교'를 건너 상록천배드민턴장 앞에서 산으로 들어간다. 쉼터 의자에서 산행 채비를 점검하고.. 첫 지능선으로 올랐다. 이 능선을 따라 오른쪽으로 오르면 '관음사 국기봉'이다. 산악회원들로 보이는 일단의 여자들이 떠들썩 앞서 오른다. 진행 방향의 암봉과 철계단. 오른편 건너로 선유천 국기봉도 보인다. 다시 암..

인릉산[새말 - 옛골]

인릉산(仁陵山, 326.5m) 2020. 5. 21(목) 이슬∥ 6명 서초구 헌인릉의 앞산으로, 순조의 능인 '인릉'의 조산(朝山)에 해당한다고 인릉산이다. 높이는 300m 조금 넘지만, 오르내림이 여러 차례 있어 산행의 재미가 제법 아기자기하다. 등산로는 숲이 우거지고 바위 하나 찾아보기 어려운 전형적인 육산이다. 산행은 일반적으로 옛골과 세곡동 쪽에서 시작하는데, 어느 쪽이든 대중교통으로 접근이 용이하다. 모란역 ⑥번 출구에서 [57]번 버스를 타고 25분을 달려 「신촌동 앞」 정류장에서 내린다. 오늘 코스는 「새말 ~ 옛골」 이른바 '신구간'이다. □ 신촌동 - 범바위산 - 인릉산 - 옛골(7.0km) 벽돌집과 하얀벽 건물 틈새로 들어간다. 진입로 찾기가 처음 가는 사람에게는 다소 당황스러울 듯하다..

남한산성 망덕산 [목현리 - 망덕산 - 검단산]

남한산성 망덕산 [목현동 - 망덕산 - 검단산 - 남문] 2020. 5. 14(목) 이슬∥ 7명 이배재터널 개통과 함께 노선버스들이 이배재를 경유하지 않는다. 이배재를 대신할 산행코스를 찾다가 광주 목현동에서 시작하는 등산로를 알게 되었다 모란역⑥출구에서 [31-3]번 버스를 타고 20분을 달려 「목현2동·GS주유소」정류장에서 내린다. □ 목현동 - 형제봉 - 망덕산 - 검단산 - 남문 - 성남유원지(8.5m) 이배재터널을 통과한 첫 정류장 「목현2동 · GS주유소」에서 내려 길을 건너면 바로 산행 진입로이다. '산불조심' 현수막이 걸려있는 데는 거의 등산로가 있다. 숲길 진입로 이배재에서 오르는 주 등산로에 올라선다. 이배재능선 주 등산로 이배재 정상 형제봉 '형제봉' 정상 쉼터 목현동에서 출발하여 1..

북한산 소녀실루엣바위 [ 칼바위능선 - 형제봉능선]

북한산의 「닮은꼴 바위」를 찾아서 2020. 5. 12(화) 혼자 북한산 형제봉능선 아래에 있다는 「소녀바위」를 찾아보려 한다. 산행은 칼바위능선으로 오른다. 수유역③번 출구에서 마을버스 [강북03]번을 타고 종점 「빨래골」에서 내린다. 30분가량 걸린다. □빨래골통제소 - 칼바위능선 - 대성문 - 형제봉능선 - 소녀바위 - 형제봉통제소(7.7km) [강북 03]번 마을버스 종점에서 내려 바로 산행을 시작한다. 궁중 무수리들의 휴식 겸 빨래터였던 곳 칼바위통제소를 거쳐 오르기로 한다. 왼쪽은 솔샘터널에서 오는 길 칼바위통제소 앞 갈림길 오른편은 범골과 삼성암을 거쳐 화계사로 내려가는 길이다. 왼편 정릉탐방센터 내원사에서 올라오는 길과도 만난다. 칼바위봉을 앞두고 바로 왼편 봉우리가 '문필봉'이다. 문필봉..

삼성산 모자봉 올빼미바위 [열녀암 - 모자봉 - 올빼미바위]

삼성산 올빼미바위를 찾아서 2020. 5. 8(금) IBK-OB산우회 6명 코로나 기세가 한풀 꺾이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도 다소 완화되는 분위기.. 우리 산행도 재개하기로 하여 오늘은 삼성산. 모자봉 올빼미바위에서 놀다 오기로 한다. □관악산공원 - 제2광장 - 열녀암 - 모자봉 - 올빼미바위 - 아카시아동산 - 서울대(3.0km) 제2광장에서 동쪽 열녀암 방향으로.. 열녀의 아들들?? 그래서 모자봉?? 부엉이? 올빼미? 정답 ~ ~은 올빼미!! 귀 모양의 깃털이 있으면 부엉이, 없는 것은 올빼미.. 그늘 좋은 데에 자리 잡고 1시간 동안 푸른밤, 막걸리, 캔맥주 등으로 즐거운 간식.. 아카시아동산. 서울대학 구내로 들어가자.. 서울대 신소재연구소로 하산 5516번 버스 종점행을 타고 풍년집으로.. 저렴하..

남한산성 [산성공원 - 검단산 - 망덕산 - 보통골]

남한산성[산성유원지 - 검단산 - 망덕산 - 보통골] 2020. 5. 7(목) 이슬∥ 8명 이배재터널이 개통되어 노선버스들이 이배재 고개를 경유하지 않는다. 남한산성과 영장산의 이배재 코스를 가려면 이배재를 대신할 다른 나들목을 찾아야 한다. 오늘은 남한산성공원에서 시작하여 보통골로 하산하며 등산코스를 확인하고자 한다. 모란역③출구에서 [51]번 버스를 타고 20분을 달려 남한산성입구에서 내린다. □ 남한산성공원 민속공예전시관 - 검단산 - 망덕산 - 보통골 성남공단(7.3m) 민속공예전시관 벌깨덩굴이 제철.. 능선 위로 올라왔다. 오늘은 우리가 식탁을 차지하고 1차 간식.. 선두는 으레 망덕산 정상을 비켜 우회한다. 뒤 따르던 나는 혼자 망덕산 정상으로.. 왕기봉이라고도 하는 망덕산 정상 망덕산 500..

인릉산[새말 - 옛골]

인릉산(仁陵山, 326.5m) 2020. 4. 30(목) 이슬∥ 7명 세곡동 헌인릉의 앞산으로, 순조의 능 '인릉'의 조산(朝山)에 해당한다고 인릉산이다. 서쪽 원터골을 사이에 두고 청계산과 마주 보고 있다. 높이는 300m 조금 넘지만, 오르내림이 여러 차례 있어 산행의 재미가 제법 아기자기하다. 등산로는 숲이 우거지고 바위 하나 찾아보기 어려운 전형적인 육산이다. 산행은 보통 옛골과 세곡동 쪽에서 시작하는데, 어느 쪽이든 대중교통으로 접근이 용이하다. 오늘은 「새말 ~ 옛골」 이른바 '신구간코스'.. □ 신촌동 - 범바위산 - 인릉산 - 옛골(7.1km) [갈 때] 모란역 ⑥번 출구 [57]번 버스 -25분- 신촌동 정류장 [올 때] 옛골 SK주유소 [11-1]번 마을버스 - 모란역 신촌동(새말) 건..

관악산 버섯바위 [버섯바위능선 - 케이블카능선]

관악산 버섯바위능선 - 케이블카능선 2020. 4. 25(토) 기암 전시장 관악산으로 간다. 오늘은 친구와 둘이 버섯바위를 찾아보기.. 서울대 건설환경연구소 앞에서 버섯바위능선으로 올라 연주암에서 케이블카능선을 거쳐 과천으로 하산한다. □건설환경연구소 - 공학관(상) - 버섯바위능선 - 연주암 - 케이블카능선 - 구세군교회(5.0km) 낙성대역에서 [관악02]번 마을버스를 타고 「건설환경연구소」에서 내린다. 건설환경연구소는 관악산 산행의 최단 코스 기점이다. 자운암능선 도림천계곡 버섯바위능선 학바위능선 등을 오를 수 있다. 이 갈림길 왼쪽 길은 자운암능선으로 가는 길이다. 버섯바위능선으로 가려면 직진.. 계곡을 건너 바로 나타나는 K30 공학관(상) 갈림길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오른다. 갈림길에서 50여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