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 1100

아산 "배태망설"의 '망설', '망경산 – 설화산'

아산 "배태망설"의 ‘망설’ 구간 2022. 3. 9(수) 제20대 대통령 선거 공휴일 지난주 "배태망설"의 ‘배태’에 이어 오늘은 ‘망설’ 구간. 여기 산들은 대부분 600m 내외로, 낮지만 평야지대에 솟아 있어 조망이 좋다. 설화산과 망경산도 그렇다. 오늘 들머리는 명막골 넋티고개.. △넋티고개 - 망경산 – 절골 - 설화산 – 외암2리(10.4km 4시간) [갈 때] 09:45 천안역 동부광장서 [640]번 버스 타고, 10:23 명막골 넋티고개 하차 명막골은 [640]번 버스 중간 회차지점이다. [올 때] 14:55 '외암리아래삼막골'정류장에서 [아산 공영버스] 타고, 온양온천역에서 전철 환승 버스는 여기서 회차해 나간다. 온양온천역에서 [172]번을 타도 되지만, 배차 간격이 2시간 이상이다. ..

인릉산 [신촌동 - 신구대식물원]

2022. 3. 3(목) 이슬∥ 6명 인릉산(仁陵山)으로 간다. 지난해 9. 9 이후 6개월 만이다. 높이는 300m에 불과하고 바위 하나 찾아보기 어려운 육산이지만, 산길은 아기자기하다. 오늘 산행은 새말에서 시작한다. □ 새말(신촌동) - 범바위 - 인릉산 – 신구대학 식물원(5.3km) [갈 때] 모란역 ⑥번 출구에서 [57]번 버스를 타고 「신촌동 앞」정류장에서 하차. [올 때] 신구대학 식물원 앞에서 [342]번 버스를 타고 모란역으로.. 빨간벽돌 한옥과 필로티 건물사이에 등산로가 있다. 옛골에서 12:15 출발하는 버스에 맞추기 위해 신구대식물원(대왕저수지) 방향으로 하산한다. 보통 '옛골'로 하산하는데 오늘은 버스시간에 맞추기 위해 이곳 저푸리마을로 하산하였다. [342]번 마을버스가 1시간..

아산 "배태망설"의 '배태', '배방산 - 태화산'

2022. 02. 28 혼자 아산 배방읍 남서쪽에는 배방산 태화산 망경산 설화산이 타원을 그리며 이어져 있다. 흔히 "아산의 배태망설"이라 부르는데, 한 바퀴 도는 거리가 20km 남짓하다, 오늘은 그 "배태망설"의 절반 구간인 배방산 - 태화산으로 간다. △ 동천교회 - 배방산 - 카터고개 - 태화산 – 광풍중(11.6.0km 4시간 30분) 10:25. 배방역에서 30분 걸어왔다. 거리는 2.5km 이상은 되는 듯 싶다. 버스 노선도 있는 것 같은데, 잘 알지 못하는 시골 버스는 기다리느니 걷는게 낫다. 주차장 구석에 등산 나무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배방산 → 2.4km」 산성이라지만 흔적은 찾아볼 수 없었다. 높이가 361m에 불과하지만, 거리가 짧으면서 가파르다. 정상까지는 계단이 많다. 200..

분당, 고불산 [도촌동 - 이배재]

022. 02. 24(목) 이슬 5명 어제, 코로나 신규확진 170,000명.. 오늘도 어제와 다르지 않을 듯.. 사람 왕래가 뜸한 고불산으로 간다. 맹산의 북쪽 봉우리.. '맹산'은 맹사성이 세종으로부터 하사받은 산. '고불'은 그의 호. 사람들은 그를 '맹꼬불'이라 불렀다 △도촌동 섬마을 - 섬말쉼터 - 고불산 - 요골산 – 목현동(6.2km) 모란역에서 240번 버스를 타고, 도촌동 섬마을 9단지에서 내려 산행을 시작한다. 코로나로 사회가 얼어붙고 추위도 여전하지만 어디선가 봄의 기운이 느껴진다. 매주 만나지만 늘 반갑고 즐겁다.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였다.

관악산, 평상바위능선 [문원폭포 - 평상바위]

[과천 - 평상바위 - 너럭바위 - 인덕원] 2022. 02. 17(목) 육봉능선 북편으로 케이블카능선 사이에는 고만고만한 지능선들이 여럿 있다. 모두가 문원폭포가 기점이다. 지난주 국사봉능선과 장군바위능선에 이어 오늘은 평상바위능선을 오른다. 문원폭포 마당바위에서 잣골 방향으로 10여분 직진하면 넓은 쉼터가 나오고, 왼편으로 평상바위로 오르는 등산로가 보인다. 좌측 장군바위능선, 우측 케이블카능선 사이의 능선으로 좌우 조망이 매우 빼어나다. 정상은 KBS 송신소 아래 너럭바위.. 인적이 드물어 한가로운 코스다. □과천청사 - 문원폭포 - 평상바위능선 - 송신소 갈림목 - 관양능선 - 동편마을(8.0km) 과천청사역 ⑦번출구에서 정부청사를 오른편에 끼고 돌아, 바로 백운사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마당바..

관악산, 장군바위능선 [문원폭포 - 장군바위]

[장군바위능선- 연주대 – 수영장능선] 2022. 02. 11(금) 지난달 국사봉능선을 오르며 눈여겨 봐두었던 장군바위능선으로 간다. 5년 전 여름에 친구와 올랐었지만 비 맞았던 기억밖에 없다. 장군바위능선은 중간에서 양 가닥으로 갈라지는데 오늘은 남쪽의 지능선으로 오른다. □과천종합청사 - 문원폭포 – 장군바위능선(소) - 연주대 – 수영장능선 - 서울대(6.3km) 정부종합청사를 오른편에 끼고 돌아 바로 백운사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종합청사역⑦에서 1.3km, 15분쯤의 거리이다. 마당바위에서 등산로는 여러 방향으로 갈라진다. 왼쪽은 육봉과 국사봉능선, 직진은 계곡과 장군바위능선, 오른쪽 정경백바위 앞으로는 일명사지로 오르는 길이다. 오늘은 불조심 현수막 뒤로 들어가 문원폭포를 둘러보고 장군바위능..

북한산 [불광역 - 향로봉 - 구기동]

2022. 2. 8(화) 북한산으로 간다. 게을러진 근력을 단숨에 복원하기는 북한산 만큼한 곳도 없을 것이다. 불광역에서 출발한다. □불광동 대호아파트 - 족두리봉 - 향로봉 - 대남문 - 구기동(9.6km) 불광역⑨출구에서 나와 대호아파트 옆길로 100여m 올라가서 삼환그린파크 옆 골목으로 들어간다. 저 봉우리를 오르면 족두리봉이다. 당초 계획은 백운대를 거쳐 우이동까지 종주하는 것도 고려하였었으나, 북쪽 방향에서 오는 사람들마다 아이젠을 착용하고 있다. 여기서 구기동으로 하산하자··· 오른쪽 출입금지 구간은 소위 '리틀라이언'능선 언젠가는 용기를 내어 몰래 걸어봐야겠다. 북한산은 언제 올라도 새롭고 재미있다. 조망은 말할 것도 없고 시종 바윗길을 걸을 수 있다. 혼자 하는 산행에는 늘 허전함이 따랐었..

광교산 최단코스 [고기리 - 법륜사] 8.5km

2022. 2. 5(토) 혼자 오후에 가족행사가 있어, 가까운 광교산을 짧은 코스로 한 바퀴 돌고 오자! □고기리 - 억새밭 - 광교산 - 비로봉 - 형제봉 - 법륜사입구(8.5km) [갈 때] 미금역③출구에서 [14]번 마을버스를 타고, 고기리 '이종무 장군 묘 입구'에서 하차 [올 때] 법륜사입구에서 [15-2]번 마을버스를 타고, 죽전 신세계에서 전철 환승 10:00 미금역③출구에서 [14]번 마을버스를 타고, 10:28 '이종무장군묘입구' 정류장에서 하차, 골목으로.. 왼쪽 길로 직진한다. 지난 월요일 내린 눈이 아직도 그대로 쌓여있다. 아이젠 착용.. 주능선 등산로의 눈은 다 녹았다. 아이젠도 벗고.. 비로봉으로.. 양지재 양지바른 무덤 앞 '점심 밥터' 여기저기 삼삼오오 점심을 먹고 있다. 나..

서울, 청계산 5 봉 종주 11km

청계산 5봉[옥녀봉 - 매봉 - 망경대 - 이수봉 - 국사봉] 2022. 1. 29(토) 설 연휴가 시작되는 주말, 청계산 5 봉을 종주해보자. 옥녀봉, 매봉, 망경대, 이수봉, 국사봉 … 유무중(有無中) 지나치는 석기봉까지 친다면 6개의 봉우리이다. □청계산입구역 – 옥녀봉 – 매봉 – 혈읍재 – 이수봉 – 국사봉 – 운중동(11.3km) 오른쪽 돌계단으로 꺾어, 진달래능선으로 오른다. 조금 전에 올라왔던 갈림길로 되돌아와서, 직진··· 고려 망국의 한을 품고 은둔했던 조견이나, 무오사화를 피해 숨어들었던 정여창도 이 고개를 넘었으리라 만경대 북쪽 옛길로 가자.. 조견(趙狷) 고려말 문신, 본명은 윤(胤) 영남 안찰사 임기를 마치고 귀경 도중 고려가 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통곡하며 청계산에 들어가 은둔한..

관악산, 국사봉능선 [문원폭포 - 국사봉 - 버섯바위]

[문원폭포 – 국사봉 - 서울대] 2022. 1. 27(목) 「국사봉능선」을 오르기로 한다. 팔봉능선의 제8봉을 국사봉이라고도 부른다. 과천에서 오르면 좌우로 '육봉능선'과 '케이블능선'을 시원스레 조망할 수 있다. 과천 종합청사 - 문원폭포 - 국사봉능선 - 국사봉 - 버섯바위능선 – 서울대(5.8km) 융합시험원을 지나 백운사입구 좁은 철책 길이 산행 들머리이다. 종합청사역에서 1.5km 가까이 걸어왔다. 오른쪽 정경백바위 앞으로 오르면 일명사지를 지나 연주대로 오르고 왼쪽은 문원폭포를 거쳐 육봉능선과 국사봉능선으로 오르게 된다. 암자터 축대를 가로질러 뒤로 오르면 국사봉능선, 오른편은 장군바위능선 가는 길이다. 이제부터 거친 바윗길이 시작된다. 삼각대 없이 카메라를 맨 바닥에 놓고 사진놀이.. 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