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선화 수선화(水仙花) 수선화에게 - 정호승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눈이 오면 눈길을 걸어가고 비가 오면 빗길을 걸어가라 갈대숲에서 가슴 검은 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 가끔은 하나님도 외로워서 눈.. ☆야생화/들꽃 2014.04.07
꽃향유 꽃향유(-香薷)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들국화 일색인 가을 산에 꽃 색이 아주 강렬하고 매력이 넘치는 꽃이다. 이름만큼이나 아름답고 향기로울 뿐 아니라 향기로운 기름을 추출할 수 있는 꽃이다. 향기는 꽃에서 보다도 줄기나 잎에서 독특하게 풍기는 방향성(芳香性) 식물이다. 한 .. ☆야생화/들꽃 2013.12.02
용담 - 좀뒤영벌의 숙박시설이 되는 꽃 용담 용담과의 여러해살이풀 동의보감에는 ‘과남풀’·‘관음풀’로 기재되어 있다고 한다. '용의 쓸개’ - 龍膽 ‘한 나무꾼이 사냥꾼에게 몰리고 있는 토끼를 한 마리 구해주었다. 어느 추운 겨울, 산에 나무를 하러간 그 농부에게 그 토끼가 나타나서 눈 속을 파헤쳐 풀뿌리 하나를 .. ☆야생화/들꽃 2013.10.23
日帝가 지은 꽃 이름(스크랩) [만물상] 日帝가 지은 꽃 이름 [조선일보 2013. 10. 15/ 김태익 논설위원] '개불알꽃'이라는 점잖지 못한 이름의 꽃이 있다. 꽃의 생김새가 개의 고환 같다고 해 붙은 이름이다. 식물학자들은 부르기 민망해서 그랬는지 '요강꽃' '복주머니난' 같은 다른 이름들을 내놓았다. 그러나 보통 사람들.. ☆야생화/들꽃 2013.10.15
하늘타리 하늘타리 - "하늘이 내려 준 열매" 덩굴줄기가 나무를 타고 올라가 실타래를 풀어 놓은 듯한 흰꽃이 하늘에 떠 있다. 높이 달려있는 열매가 수박이나 다래와 과 비슷하여 '하늘수박' '하늘다래'라는 이름도 있다. 제주도에서는 '두레기'라고 부른다. 예전에 제주도에서는 두레기가 액운을 .. ☆야생화/들꽃 2013.10.04
세뿔투구꽃 세뿔투구꽃 - '멸종위기2급'의 우리나라 특산식물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잎이 삼각형이고 세 개로 깊게 갈라져 뿔처럼 생겼다고 세뿔투구꽃이라고 부른다. '금오오돌또기' '담색바꽃' '미색바꽃'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특산식물이.. ☆야생화/들꽃 2013.09.30
뚱딴지(돼지감자) [달팽이박사의 생명이야기] 조선일보 2013. 09. 28. 토 줄기엔 '해바라기꽃' 뿌리엔 '감자' … 이상야릇하다, 네 이름은 뚱단지 대구 북구 노곡교 인근 금오강가에 노란 돼지꽃이 활짝 피었다. 조선일보 DB 낮엔 따끈하고 밤은 썰렁해 일교차가 심한 계절, 가을 채소인 무·배추가 쑥쑥 자라고 .. ☆야생화/들꽃 2013.09.28
맥문동 맥문동 백합목 백합과의 늘푸른여러해살이풀 '뿌리의 굵은 부분이 보리와 비슷하고 잎이 겨울에도 잎이 시들지 않고 늘 푸르다'하여 맥문동(麥門冬)이라 는 이름을 얻었다. 그늘에서도 무리지어 잘 자라며 가뭄과 추위를 잘 견디고 늘 푸른 잎을 가지고 있어 조경용으로 적당하다. 지표.. ☆야생화/들꽃 2013.09.22
영아자 영아자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다른 이름으로 염아자 여마자 염마자라고도 한다. 꽃이 핀 모습이 머리카락이 강한 바람에 휘날리듯이 산만하고 어지러운 느낌을 준다. 그래서 ‘광녀(狂女)’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중북부지방의 산골짜기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줄기는 .. ☆야생화/들꽃 2013.09.19
산오이풀 산오이풀 장미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잎을 문지르면 오이 냄새가 난다고 하여 오이풀이고, 오이풀과 잎 모양은 같으나 꽃이 다르고, 높은 산에서 산다고 '산오이풀'이라 한다. 중부 이남의 고산지대의 메마른 땅, 바위틈 같은 곳에서 주로 자란다. 지리산 세석, 장터목 천왕봉 주변에.. ☆야생화/들꽃 2013.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