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요등 계요등(鷄尿藤) 꼭두서니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잎을 비비면 닭의 오줌 냄새가 난다하여 '계요등'이라 이름이 붙었다. 그 냄새 때문에 '구렁내덩굴'이라 부르기도 한다. 구렁이대덩굴이라는 다른 이름도 있다. 덩굴성 식물로 울타리나 다른 식물을 감고 올라가며 자란다. 다 자라면 .. ☆야생화/들꽃 2013.09.12
흰진범 흰진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의 윗 부분은 새의 머리와 부리를 닮아있고 아랫부분은 오리궁둥이를 빼닮았다. 투구꽃과 같은 속이어서 얼핏 보면 꽃잎의 모양이 마치 투구를 얹은 것 같다. 한방에서는 흰진교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원산으로 전국 각처의 산지의 숲속에서 자.. ☆야생화/들꽃 2013.09.05
꽃며느리밥풀 2013. 7. 20 관악산 며느리밥풀꽃 ··· 울엄니 나를 잉태할 적 입덧나고 씨엄니 눈돌려 흰 쌀밥 한 숟갈 들통나 살강 밑에 떨어진 밥알 두 알 혀끝에 감춘 밥알 두 알 몰래몰래 울음 훔쳐먹고 그 울음도 지쳐 추스림 끝에 피는 꽃 며느리밥풀꽃 ··· 송수권의 시 ‘며느리밥풀꽃’의 일.. ☆야생화/들꽃 2013.07.30
큰산꼬리풀 2013. 7. 25 대미산 큰산꼬리풀 현삼과(玄蔘科)의 여러해살이 풀. 다른 이름으로는 “긴산꼬리풀”이라고도 한다. 자라는 곳은 지리산 이북 지방의 높고 깊은 산에 주로 자란다. 적어도 해발 800m이상 되는 곳에 대부분 분포한다. 키는 다 크면 1m 내외로 허리높이쯤까지 자란다. 줄기는 굵고 .. ☆야생화/들꽃 2013.07.28
노루오줌 노루오줌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와 꽃에서 지린내를 풍기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여름에 숲에서 피는 꽃들은 짙푸른 나뭇잎 사이에서 자신의 존재를 알리려는 듯 하얀 색으로 피어나는 경우가 많은데, 노루오줌은 분홍빛으로 자잘한 꽃들이 뭉쳐서 피어나 색다른.. ☆야생화/들꽃 2013.07.27
금마타리 금마타리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늦여름 들판에서 피는 마타리와 닮았다. 우리나라 고유의 특산식물이며 울릉도 및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한다. '향마타리'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다. 가을로 접어들어 잎이 노랗게 물들기 시작하면 심한 인분이나 두엄 썩는 냄새와 비슷한 향을 .. ☆야생화/들꽃 2013.07.11
미역취 미역취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돼지나물이라고도 합니다. 미역취란 이름에 대하여는 나물 맛이 미역 맛 비슷하다는 설도 있고, 대가 나오기 전 잎자루가 축 늘어진 모습이 미역을 연상 시켜서 미역취라고 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옛날 춘궁기 때 보릿고개를 넘기는데 중요한 .. ☆야생화/들꽃 2012.10.15
마타리 마타리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황순원의 단편 ‘소나기’에서 서울에서 온 소녀와 시골 소년이 산 너머로 놀러가서 마타리를 ‘양산같이 생긴 노란 꽃’이라고 하면서 이름이 뭐냐고 물었던 그 노란 꽃’이다. 들판에 피는 노란꽃이라하여 야황화라는 이름도 있다. 여름부터 가을에 .. ☆야생화/들꽃 2012.10.08
고마리 고마리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고만이, 고만잇대, 꼬마리 등으로도 불린다. 충청도에서는 주로 돼지사료로 많이 이용되어 ‘돼지풀’이라고 부른다고도 한다. 제주에서는 '고맹이풀'이라 부른다. 여뀌와 마찬가지로 수생식물로서 물을 정화시켜주는 자연정화기능을 한다. 주로 물가.. ☆야생화/들꽃 2012.10.01
여뀌 여뀌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우리나라에 자라는 여뀌 속 식물은 30여 종이 넘는다고 한다. 대부분 물을 좋아하기 때문에 비옥한 습지나 냇가에서 자란다. 그 중에서도 미꾸리낚시를 비롯하여 기생여뀌, 여뀌, 바보여뀌 등은 특히 물을 좋아한다. 뿌리는 땅 속으로 뻗기보다 수중으로 뻗는.. ☆야생화/들꽃 2012.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