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 1100

광교산[법륜사 - 광교산 - 고기리]

▲광교산 시루봉 광교산[법륜사 - 광교산 - 억새밭 - 고기2리복지관] 2019. 12. 23(월) 혼자 꼬맹이를 유치원에 등원시키고 나자 10시.. 광교산 짧은 코스나 한바퀴 돌아와야겠다. △수지 법륜사 - 광교산 - 억새밭 - 기도원 - 고기2리복지관(6.2km) [갈 때] 분당에서 [720-2]번 버스를 타고 수지구청역에서 [15-1]번 마을버스로 환승하여, 법륜사입구에서 내린다. [올 때] 고기2리복지관 앞에서 [14]번 마을버스를 타고 미금역에서 하차 법륜사 입구. 몇 해 전에 이 코스로 내려왔을 때와는 분위기가 전혀 다르다. 산행 안내나 이정표도 없다. (11:13) 법륜사 담벼락 끝을 벗어나면 산길이 시작된다. 낙엽이 수북하고.. 다람쥐약수터. 다람쥐가 목을 축일 정도도 안된다. 주능선 법륜..

북한산 영봉

북한산[영봉] 2019. 12. 13(금) IBK-OB 7명 올 송년산행도 북한산 영봉이다. 년말이나 신년산행으로 늘 영봉을 오르는 편이다 「영봉에서 바라본 인수봉」은 '북한산 10대경관' 중 제3위에 해당한다. 특히 겨울철 인수봉은 그 강렬한 근육질이 일품이다. △우이동 - 용덕사 - 육모정고개 - 영봉 - 하루재 - 백운대2탐방센터 - 우이동(6.9km) 우이역 ②출구에 약속시간보다 10분이 지나서 7명이 모였다. 육모정고개로 올라서 하루재로 하산하기로 하고.. 산악회 일행으로 보이는 남여 여남은 명이 우리를 앞서 가고 있다. 용덕사 입구. 사유지라 철책을 쳐 놓아, 철책 끝 부분을 가까스로 넘어 들어간다. 육모정공원지킴터 육모정고개 평평한 육모정고개쉼터에 올라오면 어려운 고비는 다 지나온 기분이다...

인릉산

인릉산(仁陵山, 326.5m) 2019. 12. 12(목) 이슬∥ 3명 청계산입구역이 있는 원터골 동쪽 봉우리가 인릉산이다. 세곡동 인릉의 신하 산(朝山)에 해당한다. 높이는 300m 조금 넘지만, 등산로는 오르내림이 여러 차례있어 제법 아기자기하다. 산행은 보통 옛골과 세곡동 쪽에서 시작하는데, 오늘은 모란역에서 점심 약속이 있어 「신촌동~옛골」 코스를 택했다. □ 신촌동 - 범바위산 - 인릉산 - 옛골(6.7km) [갈 때] 모란역 ⑥번 출구 [57]번 버스 - 신촌동앞 정류장 [올 때] 옛골 SK주유소 [11-1]번 마을버스 - 모란역 신촌동 들머리 범바위 옛골 SK주유소 앞에서 산행 종료 모란역 '진미오리'에서 뒤풀이 점심 배순남 형님은 골프장 가셨시고, 이춘세가 합세하였다.

영동, 천태산 - 100대 명산 대중교통으로 다녀오기

영동 천태산(天台山 714.7m) 2019. 12. 10(화) 혼자 오래동안 벼루어 오던 영동 천태산으로 간다. 웅장하거나 화려하지는 않지만 암릉과 흙길의 조화가 아기자기한 명산이다. 정상은 넓고 평평하다. 한자 이름도 평평할 '台'자를 쓴다. 천태종의 본산 영국사를 품고 있다. 천태산은 지리적으로 옥천과 영동 사이에 위치하지만 접근하기는 옥천 쪽이 더 편리하다. 옥천역에서 천태산 입구인 '누교리'를 경유하는 양산행 버스가 2시간 간격으로 다닌다. △누교리 - 영국사 - 75m암릉 - 천태산 - 남고개 - 영국사 - 누교리(9.5km) [천태산 찾아가기] ①수원역에서 08:45 무궁화호 열차를 타고 10:24 옥천에 도착한다. ②옥천시내버스터미널에서 11:00 양산행 버스 타고 11:33 누교리에서 내린..

남한산성[이배재 - 산성역]

남한산성[이배재-남문-산성역] 2019. 12. 5(목) 이슬∥ 4명 남한산성 등산코스는 다양하지만 우리팀은 주로 남문 밖 능선길을 주로 걷는다. 오늘 산행은 이배재에서 시작하여 남문을 거쳐 산성역으로 하산하는 일종의 남부종주코스. 갑자기 추워진 날씨 탓에 산길은 조용하다. □ 이배재 - 망덕산 - 검단산 - 남문 - 산성역(9.6km) '두 번 절하는 고개' 이배재. 옛날 과거길 선비들이 이 고개에 이르러 한양의 임금을 향해 절을 하고, 고향의 부모님께 절을 올린다는 이배(二拜)재이다. 해발 고도가 300m, 모란역에서 버스로 약 20분 걸린다. 이배재 등산육교 처음 봉우리를 오르고 두 번째 봉우리를 넘으면 이배재 정상 '형제봉'이다. 이배재 정상. 해발 435m 다음 봉우리는 '왕기봉'이라고도 부르는..

도봉산 [우이남능선 - 보문능선]

2019. 11. 3(화) 혼자 오랜만에 도봉산 우이남능선으로 간다. 이 코스는 자체의 암릉미도 아름답지만 앞뒤로 북한산과 도봉산의 절경을 조망하며 걸을 수 있다. □ 우이역 - 우이남능선 - 우이암 - 보문능선- 도봉산역(7.2km) 우이역에서 일군의 등산객들이 쏟아져 내렸지만 도봉산 방향은 나 혼자다. 우이령길로 들어서면 전면으로 멀리 우이암이 눈에 들어온다. 오늘 코스는 우이암에서 도봉산역으로 내려갈 예정.. 우이역에서 북쪽으로 200m쯤 직진하여 한일교에서 오른쪽 산길로 접어든다. 능선에 올라섰다. 우이암 2.3km 늦은 시간이기도 하지만 갑자기 추워진 날씨 탓에 사람 만나기가 어렵다. 온른쪽은 방학동 방향이고.. 원통사 갈림길이다. 왼편 암릉길은 비탐구간. 샛길출입금지 팻말이 부담을 주지만 슬그..

고덕산 둘레길 7.5km

고덕산 둘레길 7.5km 2019. 11. 27(수) MT클럽 8명 '지하철을 이용한 걷기 모임' IBK동우회 MT클럽의 11월 행사에 참석한다. 오늘 코스는 '고덕산 둘레길 걷기' 10:00 암사역 ①번 출구에는 80대이신 문혁주 선배를 비롯하여 8명이 나왔다. 아침 최저도 포근한 영상, 12월이 코 앞인데 날씨는 전혀 겨울스럽지가 않다. □ 암사역 - 선사유적지 - 암사대교 남단 - 고덕산 - 샘터공원 - 방죽공원 - 한영외고(7.5km) 10:00 암사역에서 출발 선사유적지도 둘러보기로 하고.. 암사대교 남단에서 마을길을 벗어난다. 고덕산길로 접어들고.. 정수장 정문 앞에서부터 본격적인 산길이 시작된다. 고덕산 정상. 신필영, 임병호, 문혁주, 성청일, 유경덕, 정동조 나, 박*균 고덕산 구간을 내..

광교산 - 백운산[서봉사지 - 광교산 - 백운산 - 고기리]

광교산 - 백운산/용인·수원·의왕 2019. 11. 26(화) 혼자 광교산·백운산 구간을가기로 한다. 출발은 용인 서봉사지(瑞峯寺址). 광교산 최단코스이다. 처음으로 가는 코스이다. 새로운 길 처음 가는 코스는 늘 설렘과 기대가 앞선다. □ 서봉사지 - 토끼재 - 광교산(시루봉) - 백운산 - 고분재 -..

홍천, 수타사계곡 한 바퀴

홍천 수타사계곡 2019. 11. 19(화) 중원산악회 고즈넉한 신라고찰 수타사도 그렇지만 수타사를 휘감아 흐르는 계곡이 비경이다. 공작산 산행 시 거의 빼놓지 않는 코스이다. 공작산 산행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마침 중원산악회 행선지가 수타사계곡이다. □주차장 - 생골교 - 공작교 - 용담 - 귕소출렁다리 - 수타사 - 공작교 - 주차장(5.8km) 비수기라 우리팀 밖에는 사람들이 별로 없다. 주차장에서 바로 다리를 건너 계곡을 따라 걷는다. 삼림욕장 공작교. 다리를 건너면 수타사이다. 산수유 용이 승천했다는 전설 출렁다리에서 약수봉 - 공작산으로 오르는 등산로가 시작된다. 약수봉까지 1.5km 귕소출렁다리 생태공원 ▒ ▒ ▒ 인제 자작나무숲 돌아오는 길에 인제 자작나무숲 둘러온다. 오른편 길로 오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