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80

남양주, 철마산

2012. 2. 6 친구와 둘이 바위굴에서 철마를 탄 장수가 나왔다는 전설에서 철마산이라 부른다는데, 이름의 이미지와는 달리 육산의 능선이 아기자기하다. 잠실역⑨출구에서 [8012] 광역버스를 타고 광릉내 종점 조금 못미쳐 금곡리 신도브래뉴아파트에서 내린다. 약 45분이 걸렸다. 아파트 정문 옆 해참공원이 들머리 금곡리(10:20) → 철마산남봉 → 절고개 → 철마산(내마산) → 황골재 → 팔야4리(16:00) 아파트 정문을 지나 바로 해참공원이 들머리이다. 철마산까지 4.2km 갈림길 마다 이정표가 잘 되어 있다. 임도를 걷다가 왼쪽 산길로.. 주금산에서 천마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크고 작은 봉우리들 예닐곱개 이상을 오르내렸다. 정상 바로 아래에서 두갈래 길. 급경사냐 완경사냐? 선택 철마산 정상 이곳..

관악산 (사당능선 - 학바위능선) - 2012. 2. 4

2012. 2. 4(토) 효돈향우회 6명 사당역 - 사당능선 - 학바위능선 - 서울대 2공학관 - 낙성대역 계곡길을 피해 관음사 방향의 능선을 따라 오른다. 관음사 국기봉 밑 관음사 국기봉 위 쉼터에서 위험구간은 철제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학바위능선 2지점, 서울대갈림길(연주대← ↓서울대 갈림길 →삼거리약수터 )

태백산 - 2012. 1. 31

태백산(1,566.7m) 2012. 1. 31 이슬산악회 08:10 모란에서 출발한 버스는 중부 영동 중앙고속도로를 달려 치악휴게소에서 한번 쉬고 태백에 도착한다. 시간은 11:30, 3시간 20분이 걸렸다. 지난 27일부터 열리고 있는 눈꽃축제로 주차장은 이미 관광버스들로 가득찼다. 대부분의 회원들은 유일사매표소에서 내렸지만, 우리 몇 명은 복잡을 피해 화방재에서 오르기로 한다. 화방재 - 사길령 - 태백산 - 부쇠봉 - 문수봉 - 당골 석탁박물관(12.5km) 화방재(해발 950m) 서쪽은 영월, 북쪽은 정선으로 이어지며 남북으로 함백산과 태백산을 나눈다. 단종이 영월에서 죽임을 당하자 백성들은 어린 임금의 억울한 죽음과 비참한 삶을 안타깝게 여겨 가엾은 단종을 기리는 지명을 만든다. 어평이다. 단종..

포천, 백운산 - 2012 . 1. 27

2012. 1. 27 IBK-OB 우리들산악회 우리나라에 백운산이라는 산 이름만큼 흔한 산은 없을 것다. 정선에도, 원주, 함양과 광양, 남원에도 있으며, 그리고 의왕의 백운산도 있다. 오늘은 포천의 백운산(903m). 100대 명산의 하나. 09:00 동서울에서 출발한 사창리행 버스는 1시간 반을 달려 광덕고개마루를 돌아넘어 광덕산가든 앞 코너에 내려준다. 등산객은 우리팀 외에는 보이지 않았다. 광덕고개(10:40) -(3.2km)- 백운산(점심 12:20~12:50) -(4.1km)- 흥룡사(14:10) 광덕산 정거장에서 100여m 뒤돌아 고개마루 휴게소로 올라간다. 광덕고개는 광덕산과 백운산을 나누고, 경기도와 강원도를 나눕니다. 백운산은 높이는 900m가 넘지만, 이 광덕고개가 해발 664m이다...

청계산 (이수봉) - 2012 . 1. 25

청계산(이수봉-매봉) 2012. 1. 25 종호와 옛골 - 이수봉 - 석기봉 - 매봉 - 매바위 - 옛골 이수봉. 연산군때의 유학자인 정여창선생이 스승 김종직과 벗 김굉필이 연루된 무오사화의 변고를 예견하고, 한때 이산에 은거하며 생명의 위기를 두 번이나 넘겼다하여 후학 정구가 '이수봉'이라 명하였다고 한다. 청계사 갈림길 석기봉 밑에서 간단히 점심을 하고 매봉으로.. 망경대. 고려 말 문신 조윤(趙胤)이 나라가 망하자 통곡하며 이름을 견(損=잃을 견)으로 고치고 벼슬을 사양하고 청계산에 은거하였다. 그는 상봉인 망경대에 자주 올라 송도를 바라보며 슬퍼하다가 마왕굴 샘물로 갈증을 풀었다고 한다. 본래 상봉에 오르면 눈아래 萬景이 전개된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었으나 그곳에서 開京을 바라 보았다하여 사람들이..

관악산 (사당능선 - 케이블능선) - 2012. 1. 19

(사당능선 - 연주암 - 자하능선) 2012. 1. 19 (목) 오랜만의 7*5회 산행. 사당역 ④번 출구에 5명. 조금 내려가 '승방길'로 들어가 마트에서 막걸리 2병을 준비하고 관음사 뒷길로 오른다. 사당능선 - 마당바위 - 연주암에 오른 후 하산은 - 케이블능선 - 구세군회관 관음사 국기봉(319m) 仙遊泉 국기봉(333m) 선유천(仙遊泉) 낙성대 갈림길 하마바위 하마바위 바로 위 자운암능선 파이프능선 용마능선 관악사지에서 점심 자하능선으로 내려서며 연주암 두꺼비바위 새바위 육봉능선 문원폭포 골짜기 용마능선과 자하동천계곡 문원폭포 갈림길 구세군교회 곤지암소머리집 뒤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