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80

동석산/진도 - 2012. 6. 12

銅石山(219m) 2012. 6. 12 이슬산악회 진도 남서쪽 바닷가의 동석산은 서해와 남해의 아름다운 섬들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산이다. 銅錫山으로 표기하기도 하고, 서남쪽의 조도에서 보면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하여 童石山이라고도 표기하기도 하지만, 현지 안내표지는 銅石山으로 되어 있다. 산위에 우뚝 솟은 암봉 종성바위에 북풍이 스치면 종소리가 난다고 해서, 구리 銅자가 이름에 들어있다고 한다. 신라의 한 승려가 중국을 다녀와서 하동 쌍계사로 탑을 세우러 가다 잠깐 이곳에 머물렀는데, 동석산 봉우리들이 일제히 종소리를 토해냈다. 그때부터 산 아래 골짜기는 종성골이 되었다. 동쪽 직벽 아래에는 ‘천종(千鐘)사’가 있고, 남쪽 능선의 바위 아래에는 ‘종성교회’가 있다. 툭툭 불..

도락산/단양 - 2012. 6. 5

도락산(道樂山, 964m)/단양 이슬산악회 소위 ‘도를 깨닫고 즐길 만한 산’이라는 '도락'의 느낌을 받아 송시열이 이름을 지었다는 산이다.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의 분기점에 있는 바위산이다, 소백산 남서쪽으로 월악산과의 중간쯤에 위치하여 일부가 월악산국립공원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다. 기암석벽과 암릉이 장관이며,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에도 포함되어 있다. 산악회 버스는 07:30 모란을 출발하여 중앙고속도로 단양IC를 거쳐, 단양8경의 하나인 '사인암'을 구경 하고 상선암마을에 10:20에 도착하였다. 보통 상선암마을에서 ~ 제봉 ~ 신선봉 ~ 정상으로 올라 채운봉~검봉~상선암마을로 내려오는 원점회귀가 일반적인데, 오늘 우리는 그 반대의 코스를 택하였다. 상선암마을에서 도락산으로 이어진 제봉과 채운봉코..

마가목

마가목 장미과 잎지는작은키나무. 마아목(馬牙木)이 마가목으로 되었다고 한다. 이 나무로 말채찍을 만들어 말을 때리면 말이 곧 쓰러져 죽는다는 이야기도 있다. 제주에서는 이 나무로 ‘마께’를 만든다고 ‘마께낭’이라고 부른다. '마께’는 나무 방망이를 일컫는 제주어. 일반적으로 마께는 목질이 단단하고 무거운 나무로 만들었다. 제주도에서 빨래방망이를 ‘물마께’, 넓은 돌판 위에서 짚 등을 두드려 다듬는 방망이를 ‘덩드렁마께’라고 한다. 여름이 시원한 깊은 산 속에 자생하며 키는 6∼8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10∼14개의 작은 잎이 달리는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겹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여름에 노란색이다가 9∼..

☆야생화/나무 2012.06.04

문덕봉-고정봉/남원 - 2012. 5. 29

문덕봉(598m), 고정봉(605m) 2012. 5. 29 이슬산악회 전북에는 5대 바위명산이 있다고 합니다. 완주의 대둔산, 장군봉, 진안의 구봉산, 그리고 남원의 고정봉과 고리봉이 그것입니다. 문덕봉 산줄기는 88올림픽고속도로 남원터널로 순창군과 연결되고, 남쪽으로는 고정봉·두바리봉(555m)·삿갓봉(629m)·고리봉(709m) 등 600m 내외의 봉우리들이 길게 이어져 섬진강을 사이에 두고 전라남도 곡성군의 동악산과 마주합니다. 송내마을(11:30) - 그럭재 - 고정봉 - 문덕봉 - 비홍재(15:45) 비홍재(飛鴻재)는 임진왜란 때인데 아군이 비홍재에서 왜적의 세력을 살피던 중 기러기 떼가 이 고개를 넘어가는 것을 보고 적병이 많지 않음을 알고 공격하여 크게 이겼다는 고개입니다. 저 끝의 봉우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