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 1100

김천, 황악산 - 대중교통으로 다녀온 100대 명산

황악산(1,111m)/김천 2019. 6. 11(화) 혼자 산 이름에 '악(嶽)'자가 들어 있지만 바위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황악산이다. 다만 고도가 1,111m에 달하는 듬직한 흙산이다. 원래 이름 '황학산'이 '황악산'으로 되었다는 설도 있다. 산자락 직지사는 김삿갓이 시짓기 내기로 주지의 이빨을 뽑았다는 한시 '발치직지승(拔齒直指僧)' 이야기를 안고 있다. 산행 기점 직지사는 대중교통편 접근이 매우 편리하다. 김천역에서 직지사로 가는 버스가 10여분 간격으로 있으며 25분 정도 걸린다. △직지사 상가주차장 - 운수암 – 황악산 – 형제봉 - 신선봉 - 망봉 - 직지사 상가주차장(13.6km 5시간) [직지사 갈 때] ①수원역 07:13 [무궁화호] - 김천역 09:33 ②김천역 Bus Stop 09:..

남한산성[산성역 - 남문 - 황송공원]

남한산성[산성역 - 남문 - 황송공원] 2019. 6. 6(목) 이슬∥ 4명 산행지를 남한산성으로 결정하는데 아무도 이견 없다. 계절에 관계없이 산행지로는 남한산성만한 곳도 찾아보기 어렵다. 우선 접근이 용이하다. 그리고 등산로도 다양하여 필요에 따라 산행조절이 용이하다. 오늘 코스는 비교적 길게 걸을 수 있는 [산성역 - 황송공원] 코스이다. □ 산성역 - 남문 - 남옹성 앞 팔각정 - 검단산계곡 쉼터 - 황송공원(8.0km) (09:00) 산성역 ①출구, 산성역사거리 건너편 체육공원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산성역 체육공원에서 산행을 위한 준비를 마친다. 등산로는 남한산성로 자동차길과 나란히 진행된다. 영춘산입구쉼터. 휴일이라 산을 찾은 사람들로 쉼터마다 북적인다. 불망비(不忘碑). 남한산성의 비극을 잊..

문경, 황장산 - 대중교통으로 다녀온 100대 명산

황장산 (1077m)/문경 2019. 6. 3(월) 혼자 문경 황장산은 1,000m가 넘는 100대 명산이지만 산행코스는 짧고 단순하다. 촛대바위가 이산의 명물이자 상징인데 비탐구역으로 묶여 있다. 산행은 점촌 안생달에서 출발하여 원점회귀한다. 시계방향이나 그 반대로 한 바퀴 돌면 되는데 그 거리는 6km도 안된다. 산의 높이도 1,000m가 넘지만 산행기점의 고도가 600m 정도이다. 시계방향으로 돈다. △안생달 와인피플 - 작은차갓재 - 맷등바위- 황장산 - 계곡길 - 황장산공원지킴터(5.3km 2:50) [갈 때] 「안생달」마을로 가려면 「시내버스터미널」에서 「동로」로 가서 「안생달」 가는 버스로 갈아탄다. ①동서울 06:30 -(문경터미널 경유 08:27)- 점촌시외버스터미널 08:48 ②점촌터미..

도봉산 안말능선

도봉산[안말통제소 - 포대 - 도봉산역] 2019. 6. 1(토) IBK-OB 4명 IBK-OB 회원 4명이 도봉산 망월사역에서 만났다. 모두들 망월사계곡 코스는 여러 번 다녀봤다고 해서 오늘은 「안말능선」을 오르기로 한다. 망월사계곡을 사이에 두고 다락능선과 마주한 「안말능선」은 조망이 뛰어나면서 인적까지 드물어 쾌적하게 산행을 즐길 수 있는 코스이다. □망월사역 안말통제소 - 포대능선 산불초소 - 포대 - 다락능선 - 만월암 - 도봉산역(8.6km) (10:30) 안말공원 지킴터 망월사역 북부출구에서 나와 100여m 전방 굴다리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영산법화사' 방향으로 올라왔다. 망월사입구는 그 혼잡함이 장터를 방불케 하지만 이곳은 고요하고 호젓하다. 둘레길과 '영산법화사'갈림길에서 '영산법화사' ..

속리산, 묘봉 - 대중교통으로 다녀온 '전국 명산'

▲운흥리에서 바라본 묘봉능선 속리산 묘봉 2019. 5. 28(화) 친구와 이름도 묘한 묘봉, 속리산의 비경이다. 오래 전부터 기회를 엿보던 묘봉 산행을 오늘 나선다. 묘봉 산행은 주로 운흥1리 묘봉두부마을식당에서 시작한다. □묘봉두부마을 – 할목능선 안부 - 상학봉 – 묘봉 – 북가치 - 용화삼거리 신흥수퍼(9.0km) [갈 때] ①야탑시외버스터미널에서 06:40 청주 행 첫차를 타고 08:10 청주에 도착한다. ②청주에서 08:15 출발하는 보은 행 시외버스를 갈아타고 09:30 보은에 도착한다. ③보은터미널 앞에서 10:07 용화 행 농어촌버스를 타고 10:40 운흥리 「화평」정류장에서 하차한다. *용화 행 버스는 매시 10분 중앙사거리에서 출발하며, 3~5분 전에 보은시외터미널 앞을 통과한다. 그..

천안, 광덕산

천안 광덕산(廣德山 699.3m) 2019. 5. 21(화) 중원산악회 오랜만에 천안 광덕산으로 간다. 2010년에는 산 북쪽 외암리 민속마을 강당골에서 산행을 시작했었는데 오늘 기점은 광덕사이다. 거리가 짧은 대신 경사가 훨씬 더 가파르다. □광덕사 - 광덕산 - 장군바위 - 광덕사(6.6km) 광덕사일주문 '泰華山廣德寺' 광덕사 광덕사 대웅전으로 들어가는 보화루 앞 호두나무. 1290 고려 말 유청신(柳淸臣)이 원나라에서 호두나무 묘목을 가져와서 이곳에 심었다고 전해진다. 호도(胡桃)는 기원전 139년 아프가니스탄 지역인 대월지(大越氏)국에서 중국 한나라에 들여올 때, 이 나무의 종자가 마치 복숭아씨를 닮았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광덕산 정상(↑)과 장군바위(↗) 갈림길 정상 이정표 장군바위

수락산 [석림사능선-귀임봉능선]

수락산(637m) 2019. 5. 18(토) 혼자 장암역에서 시작하는 수락산 산행은 대부분 석림사계곡 코스로 오른다. 오늘은 석림사능선 코스이다. □장암역 - 석림사능선 - 도정봉능선 - 기차바위 - 수락산 - 도솔봉 - 귀임봉 - 노원골(9.2km 4시간) 09:20 장암역 고가계단에서 장암사거리 건너로 수락산을 바라보았다. 왼편 도정봉능선 쪽에서 오를 것이다. 계속 직진하면 석림사계곡길이지만, 여기에서 왼편 주차장 뒤로 오른다. 앞서 가는 단체팀 일행은 직진하고 한 어르신이 내 가는 길을 앞서 간다. 석림사능선길 어느 정도 올라왔더니 나무들의 키도 작아지면서 비로소 사방 조망이 터진다. 수락산 정상부. 왼편 바위봉우리가 기차바위이다. 도정봉과 기차바위 갈림길/기차바위 방향으로 간다. 도정봉능선 석림사..

광주, 백마산[경안교-마름산-백마산-초월역]

마름산(318m) - 백마산(464m) 2019. 5. 16(목) 이슬∥ 5명 경기도 광주에서 곤지암 추곡리까지 남북으로 길게 뻗은 광주산맥은 흔히 '광주7산'이라 부르는 봉우리들이 연봉을 이룬다. 오늘은 그 구간의 첫 산인 마름산에서 시작하여 백마산을 거쳐 초원역으로 내려가는 코스를 걷는다. 08:40 모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