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대중교통 산행 충청도 50

태안 해변길(학암포~신두리해안) - 2013. 6. 25

태안 해변길(1코스 바라길) 2013. 6. 25(화) 이슬산악회 제주도 올레길의 열풍이 태안에도 이어져 해변길이 조성되었다. 태안반도는 우리나라 유일의 해안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리아스식 해안이다. 2007년 기름 유출 사고의 상처도 치유됐고 2011년부터 120㎞ 바닷길을 조성하며 개방하고 있다. 태안 해변길의 시작점은 태안반도 위쪽 북면 학암포에서 출발하는 '바라길'이다. 소원면 만리포해수욕장까지 28㎞ 코스 중 학암포에서 신두리해변까지 '바라길' 12km 구간을 걸었다. 태안 해변길은 여러 풍경들이 뒤섞여 있다. 바다는 잔잔하고 푸근하다. 부드러운 백사장의 해변과 기암괴석이 그려내는 절경도 있다. 솔 향 감미로운 숲 길에는 야생화 종류도 다양하다. 학암포해수욕장 - 구례포해변 - 먼동해변 - 신두리해..

소백산/단양 · 영주 - 2013. 6. 11

소백산(비로봉1,439m) 2013. 6. 11(화) 이슬산악회 소백산은 태백산에서 남서쪽으로 뻗은 소백산맥 중에, 충북과 경북의 경계를 이루며 고치령(古峙嶺)에서 죽령에 걸쳐 60리 넘게 뻗어 있다. 소백산은 정상인 비로봉(1,439m)을 정점으로 국망봉(1,421m) 연화봉(1,394m) 신선봉(1,389m) 도솔봉(1,314m) 형제봉(1,177m)·묘적봉(1,148m) 등 1,000m가 넘는 걸출한 봉우리를 여럿 거느리고 있다. 특히 비로봉과 국망봉 연화봉을 소백산 3봉으로 불리는데, 소백산의 큰 산줄기가 모두 이 셋에서 갈라진다. 정상 비로봉 일대에는 주목과 에델바이스 군락, 연화봉 일대는 철쭉 군락으로 유명하다. 특히 연화봉에서 국망봉까지 이어진 능선은 경사가 완만한 고지대 초원길이다. 오늘 ..

제비봉/단양 - 2013. 3. 12

제비봉(721m)/단양 2013. 3. 12(화) 이슬산악회 제비봉은 월악산국립공원 동쪽 끝에 있는 산이다. 동남쪽으로 사봉(沙峰 879m)과 능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북쪽으로는 충주호가 펼쳐져 있고 그 너머에 금수산, 남쪽에는 도락산 등 주위에 유명한 산들이 많다. 충주호에서 올려다보았을 때 절벽 위의 바위능선이 마치 제비가 날아가는 모습처럼 보인다고 한다. 본래 한자이름은 '연비산'이다. 온갖 모양의 기암이 정상까지 이어져 있고 충주호와 어울려 비경을 자랑한다. 그러나 단양팔경의 유명세에 가리어 잘 알려지지 않아 인적이 드물어 조용하다. 사봉과 연계산행하려고 외중방리에서 들머리를 찾는데 한참 헤맸다. 요즘 농촌에서는 낮에 동네사람들을 만날 수가 없어 물어볼 데도 없다. 외중방리쪽 등산로는 폐쇄되어 있..

팔봉산/서산 - 2013. 2. 21

팔봉산(八峰山, 361m)/서산 2013. 2. 21(목) 광남산악회 8개의 암봉이 연이어 서 있는 데서 유래한 산이름이다. 400m도 되지 않는 낮은 산이지만 북쪽으로 가로림만의 오밀조밀한 해변과 주변의 정취가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산행은 소풍길 수준이다. 1봉에서 3봉까지는 암봉을 오르내리는 묘미가 있지만 나머지는 밋밋한 육산이다. 산행시간도 양길리에서 어송리로 종주하더라도 3시간이 미쳐 안걸린다. 경기 광주지역 광남동 태전동 주민의 광남산악회를 따라갔다. 양길리 ~ 제1봉 … 제8봉 ~ 어송리 10:30 양길리주차장 11:00 제1봉 제2봉 3봉으로 넘어가는 통천문 3봉에서 지나온 봉우리를 뒤돌아본다. 발 아래로 1봉과 2봉이 내려다보이고, 그 너머로 태안반도 북쪽의 '가로림만'이 보인다. 옛날..

서대산/금산 - 2013. 2. 5

서대산(西臺山 903.7m)/금산 2013. 2. 5 이슬산악회 충청남도지역에는 높은 산이 별로 없다. 비교적 높다고 하는 계룡산((845m), 대둔산(878m)이라야 겨우 800m급이다. 이밖에 유명한 오서산(790.7m) 광덕산(699.3m) 칠갑산(561m) 덕숭산(495m) 용봉산(381m) 등 대부분의 산이 400 ~ 700m 급이다. 900m급으로는 서대산이 유일하다. 서대산은 산세는 그리 크지 않으나 원추형 바위산으로 우람하고 위엄이 있다. 곳곳에 기암과 바위절벽이 있어 '중부의 금강'이라고도 불린다.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의 하나이기도 하다. 서대라는 이름은 서쪽에 커다란 누대처럼 우뚝 솟아 있어 붙여졌진 이름이라고 한다. 또 산의 형상이 세 개의 큰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어서 서대산이라..

민주지산/영동 - 2013. 1. 8

민주지산(岷周之山, 1,242m) 2013. 1. 8(화) 이슬산악회 ‘민주’하면 정치적인 분위기를 연상하지만 주변이 첩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岷周)는 산 이름이다. 원래 이름은 백운산이었다고 한다, '민주지산'은 이 산의 모양이 밋밋하다고 해서 '민두름산'이라고 부르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얻은 이름이라고 한다. 무주 동쪽 덕유산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에는 석기봉과 삼도봉, 북쪽으로는 각호산 등 1000m급 고산준봉을 위성봉으로 거느리고 있다. 이 중에서 삼도봉은 충청도·경상도·전라도가 만나는 곳에 있다. 삼국시대는 신라와 백제가 접경을 이루기도 했었다. 황악산을 거쳐 내려온 백두대간은 삼도봉을 지나 덕유산으로 이어진다. 산세는 전체적으로 유순하고 부드러운 전형적인 육산이다. 산의 덩어리가..

신선봉-저승봉/제천 - 2012. 11. 20

신선봉-저승봉/제천, 단양 2012. 11. 20(화) 제천과 단양군에 걸쳐 있는 금수산 북쪽 신선봉 바위능선은 깎아지른 암봉과 충주호 조망이 빼어나다. 특히 상학현에서 사태골 신선봉 학봉 미인봉 하학현마을로 진행하는 산행코스는 충주호를 시종 바라볼 수 있어 최고의 풍광을 자랑한다. 이 능선에 신선봉과 학봉, 저승봉, 조가리봉 등의 봉우리들이 솟아 있다. 저승봉(猪昇峰)은 금수산 자락인 신선봉에서 서쪽 청풍 방면 능선에 날카롭게 솟아 있다. 저승봉이라는 이름은 돼지 저(猪)자를 사용해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그러나 현지 주민들은 어감이 좋지 않아 '미인봉'으로 바꿔 부르고 있다. 동네 산악회에서 설치한 정상석도 미인봉으로 표기되어 있었다. 천길 바위 벼랑으로 둘러싸여 골이 깊고 으슥하다. 이슬산학회 등산..

오서산/홍성 - 2012. 11. 6

오서산(烏棲山, 791m) 2012. 11. 6 (이슬산악회) 충남 홍성과 보령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안과 나란히 남북으로 가로놓여 있는 산으로, 까마귀들이 많이 서식한다고 오서산(烏棲山)이라고 한다. 정상을 중심으로 약 2km의 주능선은 온통 억새밭이다. 어제부터 시작된 비는 오전에 그칠 것이라는 예보와 달리 바람까지 동반하여 하루 종일 내린다. 오서산 등산의 백미는 7부 능선 안부부터 서해바다를 조망하는 상쾌함과 후련함이라는데, 그 전망을 즐길 수 없는 날씨이다. 상담마을 - 정암사 - 억새밭 - 오서산 - (중담마을 방향 능선) - 상담마을

구병산/보은 - 2012. 7. 24

구병산(九屛山, 876.5m) 2012. 7. 24 이슬산악회 북쪽으로 만수계곡을 사이에 두고 속리산과 마주보고 있는 산이다. 속리산국립공원의 남쪽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서로 뻗은 능선 상에 수많은 봉우리들이 병풍처럼 연이어져 있어서 구병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실제 산 남쪽 마로면 관기리에서 바라보면 구병산 능선이 병풍처럼 동서 방향으로 약 10㎞이상 뻗어 있다. 이 아름다운 구병산은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에도 선정되어 있으나 속리산의 그늘에 가려져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보은군은 1999년 구병산과 속리산을 잇는 40여km 구간을 ‘충북알프스’라 이름 짓고 관광 상품화하고 있다. 구병산은 제1구간에 해당된다. 지난주 태풍 '카눈'이 북상하면서 장마를 끝낸 뒤 20일부터 시작된 찜통..

칠보산/괴산 - 2012. 6. 19

2012. 6. 19(화) 속리산국립공원 이슬산악회 백두대간의 악휘봉에서 서쪽으로 약간 비켜 솟아 있는 산으로, 쌍곡구곡을 사이에 두고 서쪽으로 군자산과 마주하고 있다. 원래 칠봉산이었는데 칠보산으로 바뀌었고 한다. 떡바위에서 시작하여 문수암골을 거쳐 청석고개에서 능선을 타고 정상에 올랐다. 평일인데도 많은 등산팀으로 붐비고 있었다. 하산은 동쪽으로 내려서서 쌍계폭포 계곡길로 절말 쌍계폭포주차장으로.. 떡바위(10:00) - 문수암골 - 청석고개 - 칠보산(11:20) - 활목고개 - 쌍계폭포 - 절말(13:30) 시루떡을 잘라놓은 것 처럼 생겼다고 떡바위 청석고개(떡바위 ← 2.1km, 칠보산 → 0.6km ) 청석고개에서 칠보산 구간도 출입이 통제되고 있었다. 동쪽으로 시루봉과 멀리 백두대간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