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대중교통 산행 서울•경기

예봉산 - 예빈산/남양주 - 2015. 2. 2

산넘고 물건너 2015. 2. 2. 20:28

 

철문봉 - 예봉산 - 예빈산 - 견우봉 - 승원봉/남양주

2015.  2.  2(월)

 

팔당호 북쪽 예봉산(683m)은 북쪽으로 철문봉(630m) 적갑산이 솟아있고, 남쪽 지류에는 율리봉(590m), 예빈산(590m), 견우봉(590m) 승원봉(475m)등 고만고만한 봉우리들이 이어져 능내리 팔당호에 닿는다.

 

능내리는 다산 정약용이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다.  그는 말년에 다시 이곳 고향으로 돌아와 마을 뒷산에 묻혔다. 철문봉(喆文峰)은 다산형제들이 어린 시절을 보내며 산에 올라 학문을 연마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적갑산~철문봉~예봉산~예빈산 코스를 「다산능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편 율리봉과 예빈산 사이의 「율리고개」는 견우와 직녀의 사랑이야기와 관련하여 「오작고개」라고도 부르고 있다.

 

예봉산 산행은 보통 팔당역에서 왼쪽 양평방향의 굴다리를 통과하면서 시작한다. 그러나 오늘은 그 반대 덕소 방향의 굴다리를 건너 전통음식점 '예다린'에서 오른다.

'다예린' 앞에서 왼쪽으로 시멘트도로를 조금 올라 왼편 묘지 옆에서 철문봉으로 바로 오르는 (철문봉)능선이 시작된다. 철문봉까지 약 3km의 능선은 시종 오르막이다.

 

 팔당역철문봉 - 예봉산 - 율리봉 - 율리고개 - 예빈산 - 견우봉 - 승원봉 - 천주교묘지(9.0km, 5시간)

 

[갈 때] 왕십리역 [중앙선] 09:00 - 팔당역 09:45

[올 때] 천주교묘지 [167]번 버스 - 덕소역/[중앙선] 환승 - 왕십리역 

 

(09:50)

 

역 광장 오른편에 걸린 '다예린' 안내를 따라간다.

 

중앙선 철로 굴다리를 지나, 사진 오른편으로 보이는 저 능선을 타고 오르게 된다.

 

팔당1리. 이 삼거리에서 예봉산(→) 안내를 무시하고 직진한다.

 

'다예린' 방향으로 들어가

 

'다예린' 입구 왼쪽으로 오른다.

 

'다예린'입구에서 시멘트포장길을 올라오면 묘지 옆에 등로가 뚜렷하게 나 있다.

 

 

소나무가 예쁜 전망바위 

 

검단산과 팔당대교가 발 아래에 펼쳐진다.

 

처음으로 만나는 이정표이다.(팔당역 ← 2.21km,  예봉산 → 1.40km)

 

곳곳에 쉼터도 있고

 

능선에는 진달래가 지천이다.

 

소나무 쉼터

 

철문봉과 예봉산

 

(11:30) 철문봉

 

철문봉에서 500m 거리의 예봉산. 그 사이에는 억새평전이다.

 

(11:50) 예봉산(683m)

 

올라온 철문봉 서부능선 뒤돌아보기

 

운길산 방향

 

진행할 예빈산 방향

 

예봉산 정상 밑 양지바른 곳에서 간단한 점심을 하고 율리봉으로 향한다.

 

율리봉과 예봉산 사이의 벚나무쉼터 삼거리. 오른쪽으로 내려가면 팔당역이다.

 

(12:50) 율리봉(590m). 운길산역으로 내려갈 수도 있다. (예봉산←0.66km,  운길산역→4.60km)

 

직녀봉이라고도 하는 예빈산.  율리봉과 예빈산 사이는 골이 깊다,

 

팔당역으로 하산할 수 있는 삼거리(예빈산↑1.41km,  팔당역→3.02km)

 

율리고개. 남쪽의 직녀봉 견우봉과 연관하여 오작고개라고도 한다.

(예봉산↓2.66km, 팔당역→2.60km,  예빈산↑0.70km)

  

조개울 갈림길(예빈산←0.66km, 조개울(하산길)→1.5km,  예봉산↓1.83km)

 

예봉산과 율리봉을 뒤돌아 본다.

 

(13:40) 예빈산

 

 

직녀봉이라고도 하는 예빈산 

예봉산에서 2.46km 걸어왔다. 능내리 천주교묘지까지는 2.0km 남았다.

 

직녀봉과 연이어 솟아있는 견우봉. 높이도 고만고만하다. 견우봉 너머로는 검단산줄기가 늘어서 있는 것이 보인다.

 

견우봉 (13:55)

 

승원봉과 양수리

 

견우봉 뒤돌아보기

 

승원봉 (14:15)

 

천주교동동묘지를 통과한다.

 

 

(14:50) 능내리

*능내리 천주교묘지입구에서 팔당역이나 덕소역으로 가는 [167]번 버스가 수시로 다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