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감주나무
무환자나무과의 낙엽성 큰키나무.
열매 안의 씨앗으로 염주를 만들기 때문에 염주나무라고도 한다. 또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선비의 기품과 품위를 지녔다고 해서 선비수 또는 학자수라고 한다. 노란색 꽃이 송이송이 떨어지는 모습이 마치 황금색 비가 내리는 것 같은 모양이어서 영어 이름은 Golden rain tree이다.
훈몽자회에서 '槵'을 '모관쥬 환', 속칭 무환목(俗呼無患木)이라고 설명하고 있다고 한다. '모관쥬'는 모감주나무의 열매 ‘모감주'의 옛말이다. 동의보감에서도 무환자피(無患子皮)를 "모관쥬나못겁질"이라 정의하고 있다. 무환자나무는 이 나무를 심으면 자식에게 화가 미치지 않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황해도 이남의 바닷가 숲에서 주로 자란다. 세계적인 희귀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안면도, 완도, 포항 등지의 자생군락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높이는 큰키나무와 작은키나무의 경계선상의 나무로 15m 정도까지도 자라며, 가지는 짙은 갈색이다.
잎은 작은 잎이 7~15장 정도로 달리는 일회깃꼴겹잎(一回羽狀複葉)으로 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나고 잎의 양면에는 털이 없으나 잎 뒷면 엽맥에는 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초여름(6∼7월) 녹음이 우거지고 비교적 꽃이 귀할 때에 노란색으로 원추꽃차례로 위를 향해 화사하게 핀다. 꽃잎은 4장으로 윗부분이 뒤로 젖혀지고, 4장의 꽃잎 아래 부분에는 붉은색의 부속체가 있다.
개화기간도 약 20~30일정도로 매우 길다.
열매는 녹색의 꽈리 모양인데 가을(10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익은 열매는 3개로 갈라지며 까맣고 윤기 있는 3개의 씨앗을 담고 있다.
씨앗은 단단하고 물에 뜨기 때문에 해수를 따라 멀리까지 이동할 수 있다. 모감주나무가 주로 서해와 남해의 해안선을 따라 자생하고 있는 이유도 이러한 종자의 특성 때문이다.
바닷바람에 강하고, 추위와 환경오염에도 강해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여름철에 왕관 모양의 노란색 꽃차례, 한겨울에도 달그락거리며 붙어 있는 꽈리 모양의 열매 등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도 좋다.
꽃은 황색물감으로도 사용하였고 종자는 둥글고 단단하기 때문에 절에서 염주를 만드는 재료로 이용하고 있다. 씨앗이 단단하고 구멍이 있어 염주를 만드는데 편리하다. 절 주변에 피나무와 더불어 많이 심는다.
한방에서는 말린 꽃잎을 요도염, 장염, 치질, 안질 등에 약용한다.
(자료: 네이버 테마백과. 네이버 지식iN)
2012. 6. 29
2015.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