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의상능선
2011. 9. 23(금)
의상능선은 능선 자체도 아름답지만
산행 내내 북한산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산줄기이다.
왼쪽으로 전개되는 백운대, 만경대, 노적봉 등과 그 너머의 도봉산의 오봉을 비롯한
거대한 암봉은 그야말로 북한산 최고의 절경이다.
사람들은 흔히 설악산 공룡능선에 비유하여 북한산의 작은 공룡능선이라고 부른다.
□백화사 - 의상봉 - 용출봉 - 용혈봉 - 증취봉 - 나월봉 - 나한봉 - 상원봉 - 문수봉 - 구기동
의상봉은 가파르게 치솟은 기암절벽 봉우리이다. 보통 북한산성입구 정류장에서 오르지만, 백화사 입구에서 시작하면 바로 한적한 숲길로 접근할 수 있다.
백화사입구 오른 편에는 여기소(汝其沼) 터를 알리는 작은 표석이 있다. ‘조선 숙종 때 북한산성 축성에 동원된 관리를 만나러 지방에서 올라온 한 기생이 뜻을 이루지 못하고 몸을 던졌다’는 슬픈 사랑의 흔적이다.
백화사 앞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구간 (의상봉 → 1.9km)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구간
직진하면 의상봉, 우측으로 우회하면 의상봉을 비껴돌아 바로 가사당암문으로 오른다.
의상봉을 오르는 도중에 만나는 바위. 보는 각도에 따라 코뿔소바위라고도 하고, 주전자바위라고도 하고, 토끼 모양으로 보기도 한다.
코뿔소바위 위쪽으로 축성의 흔적이 남아 있다.
의상봉은 502m 높이이지만 거의 평지에서 튀어 오르듯 서 있고 가파른 암벽어서, 실제 오르는 데는 1시간 가까이 걸린다.
의상봉에서 보는 원효봉, 염초봉, 백운대와 그 오른쪽의 만경대, 노적봉의 절경
용출봉과 가사당암문. 의상봉에서 용출봉으로 가려면 가사당암문으로 뚝 내려갔다가 오르게 된다.
가사당암문. 백화사쪽으로 내려갈 수 있고, 성 안으로는 국녕사로 내려갈 수 있다. ‘암문’은 성곽에서 깊숙하고 후미진 곳에 만든 비상 출입구이다. 대개 계곡으로 내려가는 곳에 만들어져 있다.
가사당암문에서 용출봉으로 오르는 가파른 바윗길
방금 지나 온 의상봉. 그 오른쪽은 원효봉이다.
용출봉(571m)이다.
백운대 일대의 봉우리들
용출봉에서 그 위로 전개되는 의상능선.
응봉능선과 사모바위, 비봉, 향로봉 등도 보인다.
비봉능선이 한 눈에 보인다.
용출봉과 용혈봉, 증취봉 사이에는 기기묘묘한 암반들로 이어져 있다.
용혈봉(龍穴峯 581m)은 2007년 7월 끔찍한 낙뢰사고가 있었다. 무려 4명이 죽고 4명이 부상을 당했다.
뒤 돌아 본 용출봉과 의상봉
용혈봉에서 증취봉 가까이 가면 우측에 강아지 얼굴을 닮은 바위가 있다. 강아지의 귀 눈 코 입이 뚜렷하다.
용혈봉을 지나오면 시루 증(甑), 밥 지을 취(炊) 증취봉(甑炊峯)이다. 시루봉이라고도 한다. 해발 593m
소나무 그늘과 평평한 바위가 있고, 시간적으로도 점심먹기에 딱 알맞는 곳이다.
증취봉에서는 백운대가 바로 코 앞에 전개된다.
증취봉을 지나면 바로 부왕동암문에 닿는다. 이 암문은 원각사가 있었다고 하여 圓覺門이라고도 하며 북한산성의 암문 중 제일 크다. 여기에서 좌우는 각각 부왕사지와 삼천사계곡길이다.
나월봉에서 내려가는 에스컬레이터 바위.
羅月峯(657m)은 심한 오르막으로, 왼쪽으로 우회하라는 푯말이 서 있고 밧줄로 막아놓았다.
그러나 우회로도 별로 좋지 못하고 힘들기는 마찬가지이다. 직접 오르는 바위길도 조금 위험하지만 탈 만하다.
나월봉 암릉을 오르 내리며 나월봉의 불꽃바위도 볼 수 있다.
뒤돌아 보는 나월봉
암릉을 내려가면 삼천사골 방면의 갈림길이며, 나한봉(688m)까지는 5분길이다. 나한봉을 피해 우회하는 길도 있다. 나한봉은 봉우리라고는 하지만 10m 정도로 오르내리면 싱겁게 닿을 수 있고 그다지 볼품은 없다.
나한봉 정상은 성벽에 달라붙는 적을 공격하기 위해 성벽에서 돌출시킨 치성형태이다. 나한봉에서 왼쪽으로 내려가면 '성랑터'로 병사들의 숙소였다.
올라온 능선을 한 눈에 돌아 본다.
삼천사계곡과 응봉능선도 내려다 본다.
나한봉을 지나면 칠성봉이라고도 하는 상원봉(715m)을 만나고 내려가면 청수동암문이다.
보통 상원봉까지를 의상능선이라고 한다.
상원봉에서 올라온 능선을 다시 한 눈에 뒤돌아 본다.
백운대와 만경대 사이로 인수봉도 보인다.
상원봉을 뒤로하고
청수동암문(靑水洞暗門 694m)이다. 좌측은 산성입구 방향이고 우측은 비봉방향으로 하산허거나 문수봉으로 오르기도 한다.
문수봉(732m). 의상능선의 종점이다.
청수동암문에서 문수봉 대남문까지는 약간 우회하는 능선으로 연결돼 있다.
문수봉의 가파른 바윗길을 올라서서 서쪽을 돌아보면 비봉능선도 한눈에 들어온다.
북한산성과 보현봉
대남문을 통해 구기동으로 하산한다.
'☆ 등산 > 대중교통 산행 서울•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곡산/양주 - 2011. 10. 3 (0) | 2011.10.03 |
---|---|
양자산/여주 - 2011. 9. 30 (0) | 2011.09.30 |
여우봉/산정호수 - 2011. 9. 20 (0) | 2011.09.20 |
보장산/포천 - 2011. 9. 20 (0) | 2011.09.20 |
북한산 (응봉능선) - 2011. 9. 16 (0) | 2011.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