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능선과 그 너머 백운대, 2014. 7. 17)
북한산(의상능선)
2014. 10. 24(금)
IBK-OB 6명
의상봉에서 시작하여 용출봉 - 용혈봉 - 증취봉 - 나월봉 - 나한봉 - 상원봉을 거쳐 문수봉으로 이루어지는 능선이다.
능선 자체도 아름답지만 산행 내내 북한산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명품코스이다.
왼쪽으로는 백운대, 만경대, 노적봉 등과 그 너머의 도봉산의 오봉을 비롯한 거대한 암봉이 전개되고, 오른편으로는
삼천사 계곡과 건너로 응봉능선이 나란히 뻗어있다.
그리고 진행방향으로는 문수봉과 비봉을 비롯한 비봉능선이 가로 질러있어 북한산을 전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흔히 의상능선을 설악산의 공룡능선에 비유하여 북한산의 작은 공룡능선이라고 부른다.
의상능선 산행은 북한산성입구에서 오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우리는 백화사에서 오르기로 하였다.
바로 숲길로 들어설 수 있어 산성입구의 번잡스러움과 포장길의 지루함을 피할 수 있다.
백화사 - 의상봉 - 용출봉 - 용혈봉 - 증취봉 - 부왕동암문 - 부왕사지 - 중화문 - 산성입구(7.6km)
10:00 은평구 백화사입구
조계사 앞에서 [704]번을 타고 광화문 서대문을 거쳐 불광동에 이르자 버스는 이미 빈 좌석이 없다.
평일인데도 가을 단풍을 찾아 나선 등산객으로 넘친다. 대부분 북한산성입구쪽으로 가는듯, 이곳 정류장에서 내리는 사람은 우리 일행 뿐이었다.
산행은 백화사 앞을 지나면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구간' 시작점에서 시작된다.
직진은 둘레길이고, 우리는 우측으로 의상봉을 향한다.
가사당암문과 의상봉 갈림목이다. 일부는 가사당암문으로 바로 오르기로 하여 두 팀으로 나뉘었다.
산성입구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났다.
의상봉을 오르는 두 구간의 암벽 중 처음 암벽구간을 올라왔다.
코뿔소바위
코뿔소바위 위쪽에는 산성 축성의 흔적이 남아 있다.
위험하고 힘들었던 바위 구간이었는데, 나무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저 위가 의상봉 정상
의상봉 정상은 남북으로 길고 평편하다.
의상봉은 502m 높이이지만 거의 평지에서 튀어 오르듯 서 있고 가파른 암벽어서 실제 오르는 데는 1시간 이상이 걸린다.
백운대 방향의 원효봉, 염초봉, 백운대, 만경대, 노적봉 등의 암봉들이다.
다음으로 오르게 될 용출봉.
가사당암문 위
가사당암문에서는 백화사쪽으로 내려갈 수 있고, 성 안으로는 국녕사로 내려갈 수 있다.
‘암문’은
성곽에서 깊숙하고 후미진 곳의 비상출입구이다. 대개 계곡으로 내려가는 곳에 만들어져 있다.
지나온 의상봉
용출봉 정상(571m). 해발 고도는 점점 높아간다.
지나온 용출봉
용혈봉(581m). 2007년 7월 이곳에서 끔찍한 낙뢰사고가 있었다. 무려 4명이 죽고 4명이 부상을 당했었다.
강아지바위
시루(甑)봉이라고 하는 증취봉(甑炊峯 593m). 소나무 그늘과 평평한 바위가 있고, 시간적으로도 점심먹기에 딱 알맞는 곳이다. 우리도 소나무 밑 평평한 바위에서 점심을 하였다.
용출봉과 용혈봉, 증취봉 사이에는 기기묘묘한 암반들로 이어져 있다.
증취봉에서는 백운대 일대의 암봉이 바로 코앞에 있다.
이어지는 봉우리들
증취봉을 지나면 바로 부왕동암문에 닿는다.
'부왕동암문'은 원각사가 있었다고 하여 '圓覺門'이라고도 하며 북한산성의 암문 중 제일 크다. 그리고 다른 암문과 다르게 홍예문 형태를 하고 있다. 여기에서 좌우는 각각 부왕사지와 삼천사계곡으로 내려갈 수 있다.
우리는 다음 봉우리 나월봉(羅月峯) 이후는 다음 기회로 미루고, 부왕사지쪽으로 내려가 북한산계곡길을 따라 하산하기로 하였다.
북한산계곡
중화문
북한동. 예전의 지저분하였던 식당촌이 철거되어 깔끔하다.
14:30 산행종료.
*유유자적 4시간의 산행이었다. 산성입구 식당촌 '시골밥상'에서 뒤풀이로 산행을 마쳤다.
'☆ 등산 > 대중교통 산행 서울•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산 - 국사봉/포천 - 2014. 11. 11 (0) | 2014.11.11 |
---|---|
용문산/양평 - 2014. 10. 30 (0) | 2014.10.30 |
북한산(숨은벽) - 2014. 10. 23 (0) | 2014.10.23 |
검단산(창우동-현충탑) - 2014. 10. 10 (0) | 2014.10.10 |
북한산 (형제봉능선) - 2014. 10. 2 (0) | 2014.10.02 |